‘최저임금’ 인상 반대 목소리..“내년 1만원되면 일자리 56만3000개 증발”

운영자 ( 2021.06.03) , 조회수 : 1,705       ▶▶ 브레이크뉴스 (바로가기)

브레이크뉴스 문홍철 기자= 내년 최저임금이 1만원으로 오르면 일자리 56만3000개가 감소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소기업중앙회는 2일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최저임금의 중소기업 일자리 영향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지난 4월 구성된 '최저임금 특별위원회’가 주최했으며, 중기중앙회 의뢰로 김재현 파이터치연구원 연구실장이 연구한 '최저임금 관련 주요 경제 및 고용지표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 연구실장은 발제에서 △2018년부터 2020년까지의 영세업종 업황과 고용지표 분석 △당시 소득분배 현황 △내년 최저임금 인상시 일자리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다뤘다.


최저임금이 급격히 올랐던 2018년과 2019년 힘들었던 영세업종은 2020년 코로나 타격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내년 최저임금이 9000원으로 인상시 13만4000명의 일자리가 줄어들고, 16조9000억원의 실질GDP가 감소할 것이며, 1만원으로 인상시 일자리는 56만3000명, 실질GDP는 72조3000억원이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에 대해 김 연구실장은 “2018년 최저임금 인상으로 자영업자가 더욱 힘들어지면서 오히려 저소득층의 소득이 감소했다”며 “2018년의 경험을 되새겨 소득격차 감소를 목적으로 최저임금을 인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송헌재 서울시립대 교수는 “기업이 속한 산업과 지역적 특성에 따라 기업 입장에서 근로자에게 기대하는 생산성에 차이가 있다면 이를 최대한 반영해 최저임금을 탄력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고용 유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구홍림 반원패션칼라사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최저임금이 오르면서 도심에서 편의점 아르바이트 하는 것과 지방 산업단지 출근해서 불편한 제조업 하는 것이 임금이 같아지니, 인력난이 더 심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고 호소했다.


(하략)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1826 `경제허리` 중견기업, 중기로 유턴 2배 늘었다 [中企로 뒷걸음치는 중견기업]
운영자 / 2025.01.13
파이낸셜뉴스 2025.01.13
1825 [금요칼럼] `노사협력`의 놀라운 효과
운영자 / 2025.01.13
신아일보 2025.01.13
1824 시급 1만원의 역설…약자간 갈등, 벼랑 끝 내몰리는 사장님
운영자 / 2025.01.10
대한경제 2025.01.10
1823 올해 최저임금 1만30원… "고용시장 악영향" vs "물가상승률보다 낮아"
운영자 / 2025.01.10
중부일보 2025.01.10
1822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중소기업 구인난, 청년 탓만 할 건가
운영자 / 2025.01.03
월드경제 2025.01.03
1821 [브릿지 칼럼] 양극화 해소 방안, 前정부와 차별화해야
운영자 / 2024.12.23
브릿지경제 2024.12.23
1820 [데스크칼럼]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다
운영자 / 2024.12.17
아시아투데이 2024.12.17
1819 200억 벌면, 전기료가 100억…"공장 돌릴수록 울화통 터진다"
운영자 / 2024.12.17
한국경제 2024.12.17
1818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일자리 문제 해결...브라질만 못한 `노사협력지수` 개선해야
운영자 / 2024.12.17
월드경제 2024.12.17
1817 비상계엄·탄핵 정국에...중소·벤처기업 투자위축 우려
운영자 / 2024.12.09
뉴스핌 2024.12.09
1816 [라정주의 경제터치] 노사협력 증대되면 일자리는 얼마나 늘까
운영자 / 2024.12.06
시사저널 2024.12.06
1815 [브릿지 칼럼] 연금개혁의 묘안이 될 자동조정장치
운영자 / 2024.11.19
브릿지경제 2024.11.19
1814 "강성노조 득세하면 소득불평등 악화"… 韓 노사협력지수, OECD 최하위
운영자 / 2024.11.18
뉴데일리경제 2024.11.18
1813 “노사협력지수 1% 오르면 일자리 10만개 증가”
운영자 / 2024.11.18
문화일보 2024.11.18
1812 한국 경제자유 14위인데 노동시장은 ‘부자유’
운영자 / 2024.11.18
문화일보 202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