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가 24일 열린 최저임금위원회 회의에서 내년 최저임금을 현 시급 8720원보다 23.9%(2080원) 오른 1만800원을 요구했다. 월급으로 환산하면 225만7200원이다. 반면 경영계는 동결이나 삭감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저임금으로 생계가 위협받는다”는 노동계, “임금 인상요인이 없다”는 경영계가 충돌했는데 코로나19 상황을 감안, 서로 조금씩 양보해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의 1만원 공약에 따라 최저임금은 2018년 16.4%, 2019년 10.9% 올랐는데 자영업자·소상공인의 비용부담 증가, 일자리는 감소 등 부작용이 속출했고 이에 놀라 2020년 2.9%, 2021년엔 1.5%만 올렸다. 노동계가 1만원 관철을 벼르고 있어 사용자위원과 근로자위원 간 충돌이 불가피한 상황인데 결국은 정부 측 공익위원 손에 달린 셈이다.
최저임금은 많이 올리면 좋을 것 같지만 부작용도 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최저임금이 14.7% 올라 1만원이 되면 무려 30만4000개의 일자리가 없어진다고 경고한다. 파이터치연구원의 한 연구원은 중기중앙회 토론회에서 최저임금이 1만원으로 오르면 일자리 55만2000개, 국내총생산(GDP) 73조2000억원이 날아갈 것이라는 충격적 발표를 하기도 했다.
이젠 구직자가 최저임금 인상을 반대하는 상황이 됐다. 중기중앙회가 70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는데 48.1%가 동결을, 15.7%는 인하를 주장했다. 응답자의 64.3%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근로시간 단축을 경험했고, 80.0%는 최저임금이 일자리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며 우려할 정도다. 정부가 할 일은 임금인상(13.2%)이 아니라 일자리 확대(68.0%)라고 말한다.
(하략)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1069 | 최저임금 차등적용 무산…소상공인만 가슴앓이 운영자 / 2021.07.01 |
||
# | [사설] 최저임금, 코로나 상황 감안 조금씩 양보해야 운영자 / 2021.07.01 |
||
1067 | “간신히 버티고 있는데”…중소기업계, 최저임금 인상 저지 총력전 운영자 / 2021.07.01 |
||
1066 | “다 죽자는 것” vs “대폭 인상” 운영자 / 2021.07.01 |
||
1065 | [데이터로 보는 경제] 주 52시간제 확대, 강행보다 현장 목소리 수용해야 운영자 / 2021.06.21 |
||
1064 | [라이더 熱戰] 혁신 잃은 카카오모빌리티, ‘생태계 교란종’ 전락 운영자 / 2021.06.21 |
||
1063 | 구직자 63%도 최저임금 인상 반대했다 운영자 / 2021.06.17 |
||
1062 | 경영계-노동계, 최저임금 극한 대립... "두자릿수 인상해야"vs"인상하면 일자리줄어" 운영자 / 2021.06.16 |
||
1061 | [팩트체크]최저임금 1만원 되면 일자리 최대 30만개 감소한다고? 운영자 / 2021.06.16 |
||
1060 | 내년도 최저임금 동결해야 한다 운영자 / 2021.06.16 |
||
1059 | [데스크 칼럼] 편의점 사장이 알바 뛰는 사연 운영자 / 2021.06.10 |
||
1058 | 내년 최저임금 오르면 소상공인 78% 폐업 고려 운영자 / 2021.06.09 |
||
1057 | [포커스] 일자리 만드는 사물인터넷…국제 표준 제정 한국이 주도 운영자 / 2021.06.09 |
||
1056 | 사물인터넷 활성화 효과, "中企매출액 355조 증가" 운영자 / 2021.06.07 |
||
1055 | ‘최저임금 인상→취약계층 일자리 감소’ 데이터로 입증됐다 운영자 / 2021.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