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파이터치연구원은“선진국 사례인 OECD 자료를 활용하여 민간기업의 자율성이 낮을 때는 공공일자리를 확대해도 실업률이 증가하지만, 민간기업의 자율성이 높아지면 공공일자리 확대 시 실업률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를 2일 발표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민간기업의 자율성이 OECD 27개 국가들의 최하위 수준일 때는 공공일자리가 1% 증가 시 실업률이 0.48% 증가했지만, 민간기업의 자율성이 OECD 국가들의 최대 수준일 때는 공공일자리가 1% 증가 시 실업률이 2.22% 감소했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OECD 27개 국가들의 2007년부터 2019년까지의 패널 데이터이다.
민간기업의 자율성이 OECD 국가들의 최하위 수준일 때는 공공일자리가 증가해도 실업률이 증가했다. 그 이유는 민간기업 자율성에 따른 새로운 일자리 창출효과 보다 공공일자리가 확대됨으로써 민간일자리가 공공일자리로 대체되는 구축효과가 더 컸기 때문이다.
반면, 민간기업의 자율성이 OECD 국가들의 최대 수준일 때는 공공일자리가 증가하면 실업률이 감소했다. 그 이유는 민간기업의 자율성 수준을 높이면 창출되는 일자리 효과가 공공일자리 구축 효과보다 더 컸기 때문이다.
(중략)
이번 연구를 수행한 마지현 파이터치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민간기업의 자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주52시간 근무제를 폐지하고, 기업의 지급여력을 고려하여 최저임금 인상률은 명목 경제성장률과 연동해야 한다" 며 "기업의 부담을 가중화시키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고용보험 의무를 백지화하고, 과잉규제를 방지하기 위해 영국처럼 의원입법 규제영향평가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 | 공공일자리 확대해도 기업 규제하면 실업률 늘어 운영자 / 2022.03.14 |
||
1173 | [북카페] ‘대한민국 정보통신의 역사 그 별의 순간들’ 외 운영자 / 2022.03.14 |
||
1172 | 파이터치硏 "민간기업 자율성 낮으면 공공일자리 늘려도 실업률 상승" 운영자 / 2022.03.14 |
||
1171 | 공공일자리 확대해도 기업 옥죄면 실업 늘어 운영자 / 2022.03.14 |
||
1170 | 민간기업의 자율성 낮을 때 공공일자리 확대해도 실업률 늘어 운영자 / 2022.03.14 |
||
1169 | 파이터치硏, "실업률 낮추는 `핵심`은 민간기업 자율성" 운영자 / 2022.03.14 |
||
1168 | 민간기업 자율성 낮으면 공공일자리 확대해도 실업률 높아져 운영자 / 2022.03.14 |
||
1167 | 민간기업 자율성 낮을 때 공공 일자리 확대해도 실업률 증가 운영자 / 2022.03.14 |
||
1166 | 기업 규제, 노동 경직땐 공공일자리 늘려도 실업률 높아져 운영자 / 2022.03.14 |
||
1165 | 민간기업 자율성 낮을 때, 공공일자리 확대해도 실업률 늘어 운영자 / 2022.03.14 |
||
1164 | 파이터치연구원 "민간기업 자율성 높여야 공공일자리 확대로 실업률 낮춰" 운영자 / 2022.03.14 |
||
1163 | 민간기업 자율성 낮으면 공공일자리 확대해도 실업률 높아져 운영자 / 2022.03.14 |
||
1162 | 민간기업 자율성 낮으면 공공일자리 확대해도 실업률 늘어 운영자 / 2022.03.14 |
||
1161 | 민간기업 자율성 낮으면, 공공일자리 늘어도 실업률↑ 운영자 / 2022.03.14 |
||
1160 | 기업 자율성 낮으면 공공 일자리 늘려도 실업률↑ 운영자 / 2022.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