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규모별 구분적용 3월 입법 촉구

운영자 ( 2019.03.20) , 조회수 : 1,842       ▶▶ 전기신문 (바로가기)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19일 3월 국회에서 반드시 ‘최저임금 규모별 구분적용’을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해달라고 호소했다.

이와 관련 같은 날 ‘최저임금, 이대로는 안 된다! 토론회’를 열어 제도 개선 방향을 모색했다.


김기문 중기중앙회 회장은 “국민경제 어려움과 고용문제를 최소화하고 사각지대에 놓인 영세기업의 근로자까지 최저임금 제도권으로 포용하기 위해 구분적용 입법이 시급하다”면서 “이번 토론회에서 나온 대안들이 3월 국회 입법에 잘 반영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발제를 맡은 김강식 항공대학교 교수는 “소상공인이 해외 주요국 대비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우리나라 경제구조 특성과 실제 임금수준·미만율의 차이가 큰 점 등을 고려해 구분적용 도입이 타당하다”며 “규모별 구분적용의 기준은 5인 미만과 이상을 예시로 제시하며, 규모별 구분적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근로자 간 임금격차는 정부지원으로 해소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10인 미만 영세 소상공인의 노동생산성은 500인 이상 대기업의 7분의 1 수준”이라며 “영세소상공인은 부가가치를 올리기 어려운 구조상 인건비를 줄이는 형태로 의사결정을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라정주 파이터치연구원장은 “지난해 저소득층의 가계소득이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도 더 나빠졌다”며 구분적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하략)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495 국회에 묶인 `탄력근로제`…중소·벤처기업들 `발동동`
운영자 / 2019.04.04
아시아경제 2019.04.04
494 "탄력근로제 6개월→1년, 일자리 9만1000개 감소 막는다"
운영자 / 2019.04.04
뉴스핌 2019.04.04
493 "탄력근로제 일자리 보호효과, 6개월→20만개, 1년→29만개"
운영자 / 2019.04.04
아시아경제 2019.04.04
492 "탄력근무제 1년 적용해야 일자리 29만개 덜 줄어....주52시간 부작용 최소화"
운영자 / 2019.04.04
뉴시스 2019.04.04
491 "탄력근무제 단위기간 1년 확대시, GDP 7조4000억 충격 완화"
운영자 / 2019.04.04
메디컬투데이 2019.04.04
490 [포토] 탄련근무제 관련 토론회서 개회사하는 김종석 의원
운영자 / 2019.04.04
뉴데일리 2019.04.04
489 “탄력근무제 단위기간 1년 확대시 주 52시간 근무 부정적 영향 최소화”
운영자 / 2019.04.04
아시아투데이 2019.04.04
488 "탄력근무제 1년 도입하면 일자리 29만개 늘어나"
운영자 / 2019.04.04
서울경제 2019.04.04
487 탄력근무제 국민경제에 어떠한 영향 미칠까
운영자 / 2019.04.01
메디컬투데이 2019.04.01
486 [월간중앙 정치 포커스] 문재인 대통령 연설문 팩트체크
운영자 / 2019.04.01
중앙일보 2019.04.01
485 `우리원격평생교육원` "사회복지사가 ‘노인’ 유망직업인 이유?"
운영자 / 2019.03.28
내외경제TV 2019.03.28
484 근로시간 단축 분위기…직장인들 “얇아지는 지갑 뭘로 메우나?” [일상톡톡 플러스]
운영자 / 2019.03.27
세계일보 2019.03.27
483 카드수수료 인하, 소비자계도 "소비자 피해 전가 우려"
운영자 / 2019.03.26
EBN 2019.03.26
482 "카드수수료 개편, 최저임금 부작용 막기 위한 과도한 시장개입"
운영자 / 2019.03.26
매일경제 2019.03.26
481 “업종·규모별 지불능력 제각각…현행 고수 땐 영세업종 감원 불보듯”
운영자 / 2019.03.26
중소기업뉴스 2019.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