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은결 기자] 탄력근무제 단위기간을 1년으로 설정할 때 주 52시간 근무제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파이터치연구원은 3일 국회에서 김종석·임이자 자유한국당 의원과 공동 주최로 열린 '탄력근무제 도입의 경제적 효과' 토론회에서 "탄력근무제 단위기간을 1년으로 설정할 때 일자리 11만4000개, 임금소득 1조7000억원, 국내총생산(GDP) 3조3000억원, 기업 2만2000개가 감소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며 "제도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총 일자리 28만7000개를 보호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파이터치연구원 연구에 따르면 주 52시간 근무제 하에서 탄력근로제 단위기간을 최대 6개월로 규정할 때에는 일자리 20만5000개, 임금소득 3조원, GDP 5조9000억원, 기업 3만9000개가 줄어든다. 단위기간을 1년으로 하면 9만1000개의 일자리 감소를 추가로 막을 수 있는 것이다. 탄력근로제를 도입하지 않았을 때 일자리는 총 40만1000개, 임금소득 5조7000억원, GDP 10조7000억원, 기업 7만7000개 감소한다.
(하략)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510 | [현장에서]저녁 있는 삶? 밥이 없는데… 운영자 / 2019.04.09 |
||
509 | "탄력근무제 1년으로 늘어나면, 일자리 28.7만개 보호" 운영자 / 2019.04.09 |
||
508 | `탄력근무제 도입의 경제적 효과` 토론회 가져 운영자 / 2019.04.09 |
||
507 | 전문가 "탄력근무제 6개월→1년 늘리면 9만개 일자리 감소 모면" 운영자 / 2019.04.09 |
||
506 | [포토] 탄력근무제 토론회 개최한 `김종석-임이자` 운영자 / 2019.04.09 |
||
505 | "주52시간제 부작용 최소화 방안은 탄력근무 단위기간 1년 확대" 운영자 / 2019.04.08 |
||
504 |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1년으로 더 늘려야" 운영자 / 2019.04.08 |
||
503 | "탄력근로제, 6개월 대신 1년하면 일자리 年 9만개 지킨다" 운영자 / 2019.04.08 |
||
502 | "탄력근로제 6개월→1년으로 확대하면 일자리 9만1000개 감소 막아" 운영자 / 2019.04.08 |
||
501 | [포토] 파이터치연구원, `탄력근무제 도입` 토론회 개최 운영자 / 2019.04.08 |
||
500 | [포토] 파이터치연구원 `탄력근무제 도입의 경제적 효과` 토론회 기념촬영 운영자 / 2019.04.04 |
||
499 | [포토] 개회사하는 권혁조 파이터치연구원 이사장 운영자 / 2019.04.04 |
||
498 | “탄력근로제 1년까지 늘리면 일자리 28만7000개 지킨다” 운영자 / 2019.04.04 |
||
497 | [포토] 탄력근무제 토론회서 축사하는 나경원 운영자 / 2019.04.04 |
||
496 | “탄력근무제 6개월 19.6만개, 1년 28.7만개 일자리 보호” 운영자 / 2019.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