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 법안의 3월 국회 처리가 사실상 무산됐다. 단위기간 확대 수준을 둘러싼 각 당의 이견도 좁히지 못한 상황에서 선택근로제·주휴수당·최저임금 문제까지 얽히고설키며 법안 처리의 길은 더욱 멀어지는 형국이다. ★관련기사 30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3일 고용노동소위원회를 열어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를 골자로 한 근로기준법 개정안과 최저임금법 개정안을 심사했으나 여야 간 극심한 의견대립으로 파행됐다. 임이자 고용노동소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산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3월 국회 처리는 못한다”며 “탄력근로제는 기간을 6개월로 할지, 1년으로 할지도 정하지 못했으며 기업 경영주가 원하는 것이고 근로자를 위한다는 관점에서 선택근로제와 재량근로제도 같이 논의해달라는 요청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중략)
재계의 한 관계자는 “오히려 현재 상황에서는 정치적 불확실성을 없애주는 것이 더 나았던 선택이었을 것”이라며 “6월 말까지 처리되지 않을 경우 사업장에서는 초유의 혼란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파이터치연구원은 탄력근로제의 단위기간이 1년으로 늘어날 경우 일자리 9만1,000개, 임금소득 1조3,000억원, GDP 2조6,000억원 감소를 막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원은 “이미 해외 선진국에서는 미국·일본이 1년, 독일이 6개월 등 탄력근로제 단위기간을 늘려 유연하게 운영하고 있다”며 “탄력근로제 단위기간을 1년으로 설정해야 주52시간 근로제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된다”고 설명했다.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540 | "헉, 수천억?"… `상속세 공포`에 떠는 기업들 운영자 / 2019.05.08 |
||
539 | "이 정부도 유가는 최우선적으로 신경 쓸 것...정부 생각 바꾸기 전엔 경제 살아나기 힘들어" 운영자 / 2019.05.02 |
||
538 | 최저임금 올해 또 올리면? 운영자 / 2019.04.26 |
||
537 | 고용지표 개선?…세금으로 고용참사 막으려는 `꼼수` 운영자 / 2019.04.17 |
||
536 | 라정주 파이터치硏 원장 "허울뿐인 고용 회복…세금으로 고용참사 봉합" 운영자 / 2019.04.17 |
||
535 | 파이터치연구원 "`고용참사` 숨기려는 정부, 고령층 일자리 급조" 운영자 / 2019.04.17 |
||
534 | [IT 칼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승부는 핵심인력 확보에서 결정된다 운영자 / 2019.04.10 |
||
533 | 단위기간 6개월→1년 확대시 일자리 9만1000개 덜 준다 운영자 / 2019.04.09 |
||
532 | ‘단위기간 늘릴수록 일자리·임금·GDP 악영향 축소’ 공감대 운영자 / 2019.04.09 |
||
531 | ‘저녁만 있는 삶’ ‘과잉노동 여전’ 이론으로만 완벽한 주52시간 근무제 [김현주의 일상 톡톡] 운영자 / 2019.04.09 |
||
530 | 2022년 세상이 확 바뀐다? 운영자 / 2019.04.09 |
||
529 | “탄력근무기간 1년 하면…일자리 감소 16만 개 막는다” 운영자 / 2019.04.09 |
||
528 |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1년으로 확대해야” 운영자 / 2019.04.09 |
||
527 | 탄력근로제 1년 연장 시 일자리 29만개 보존 효과 운영자 / 2019.04.09 |
||
526 | 1년 단위 탄력근로제 도입땐, 일자리 감소분 40만개→11만개로 완화 운영자 / 2019.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