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강경래 기자] 주당 근로시간이 1.3% 감소할 경우 단순노무 종사자가 22만 1000명 줄어들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파이터치연구원은 4일 ‘근로시간 단축이 자동화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한 25개 국가들의 연도별(2011~2017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단순노무 종사자의 주당 근로시간이 1% 줄어들 때 자동화가 1.1% 촉진했다”고 밝혔다.
마지현 파이터치연구원 연구원은 “이를 우리나라에 적용할 경우 주당 근로시간이 43.1시간에서 42.5시간으로 1.3% 줄어들 때 자동화로 인해 단순노무 종사자가 22만 1000명 감소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파이터치연구원은 OECD 국가들의 자료를 하우스만-테일러 추정법을 활용해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자동화 영향을 실증 분석해 이날 발표했다. 단순노무 직군은 부품 단순 분류와 단순 조립, 수동 포장 등을 포함한다.
(하략)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615 | 주52시간제 따른 자동화로 단순노무직 22만1천명↓ 운영자 / 2019.06.12 |
||
614 | CHECK! REPORT 운영자 / 2019.06.12 |
||
613 | “진보·보수 정치색 대신 데이터로 승부” 운영자 / 2019.06.12 |
||
612 | “주52시간 근무제 따른 자동화로 단순노무직 22만1천명↓” 운영자 / 2019.06.07 |
||
611 | 거대 플랫폼의 앱 사업은 암묵적 끼워 팔기 운영자 / 2019.06.07 |
||
610 | "최악 경제 위기… 탄력근로제 확대·최저임금 동결로 해결" 운영자 / 2019.06.07 |
||
609 | 근로시간 1.3% 단축 시, 단순직 22만개 사라진다 운영자 / 2019.06.05 |
||
608 | 주52시간 근무제 따른 자동화로 단순노무직 22만1천명↓ 운영자 / 2019.06.05 |
||
607 | "주52시간 근무제 따른 자동화로 단순노무직 22만1천명↓" 운영자 / 2019.06.05 |
||
606 | “주당 근로시간 1.3% 단축하면 자동화로 단순노무직 22만 1천명 줄어” 운영자 / 2019.06.05 |
||
605 | "주52시간 근무제 따른 자동화로 단순노무직 22만1천명↓" 운영자 / 2019.06.05 |
||
604 | "주52시간 근무제 따른 자동화로 단순노무직 22만1000명↓" 운영자 / 2019.06.05 |
||
603 | "주52시간 근무제 따른 자동화로 단순노무직 22만1천명↓" 운영자 / 2019.06.05 |
||
602 | “근로시간 1.3% 줄면 22만명 일자리 증발” 운영자 / 2019.06.05 |
||
601 | [포토] `최저임금-주52시간제` 관련 발언하는 라정주 원장 운영자 / 2019.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