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단순노무 종사자의 근로시간과 자동화의 반비례 관계를 우리나라의 주52시간 근로시간 단축에 적용할 경우, 근로시간이 1% 감소하면 단순노무 종사자는 22만명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4일 파이터치연구원의 마지현 연구원은 '근로시간 단축이 자동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보고서를 통해 “2011~2017년 OECD 국가 자료를 활용해 단순노무 종사자의 주당 근로시간이 1% 단축될 시 자동화가 1.1% 촉진된다”며 “이를 우리나라 주52 근로시간 단축정책에 적용하면 주당 근로시간이 1.3%(43.1시간→42.5시간) 단축될 시 자동화로 인해 단순노무 종사자가 22만1000명이 감소한다”고 분석했다. 단순노무 직종은 부품 단순 분류원, 조립원, 수동 포장원 등이 포함된다.
이번 연구 결과는 OECD 25개 국가들의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연도별 자료를 '하우스만-테일러 추정법'을 활용해 분석했다.
마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2011년부터 2017년까지 근로시간이 4.5% 감소해 OECD 국가 중 가장 많이 단축된 국가”라며 “OECD 국가 평균 주당 근로시간 변화율인 1.3% 감소와 비교하면 약 3.5배 더 줄었다”고 했다.
(하략)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 | “근로시간 1.3% 줄면 22만명 일자리 증발” 운영자 / 2019.06.05 |
||
601 | [포토] `최저임금-주52시간제` 관련 발언하는 라정주 원장 운영자 / 2019.06.05 |
||
600 | [포토] 경제비전콘서트서 발언하는 송석준 의원 운영자 / 2019.06.05 |
||
599 | 플랫폼 자유와 공화 “文정부 청년일자리 정책, 재원 마련 부작용 커” 운영자 / 2019.06.05 |
||
598 | "주52시간제→ 자동화 촉진→ 단순직 22만 개 사라진다" 운영자 / 2019.06.05 |
||
597 | 근로시간 1.3% 줄면 단순노무 22.1만개 감소 운영자 / 2019.06.04 |
||
596 | "주52시간 근무제 도입에 단순노무직 22만명 감소" 운영자 / 2019.06.04 |
||
595 | 파이터치硏 "근로시간 1% 줄이면 일자리 22만개 사라진다" 운영자 / 2019.06.04 |
||
594 | "주52시간 근무제로 단순노무직 22만명 줄어든다" 운영자 / 2019.06.04 |
||
593 | 주52시간 도입시 단순작업 일자리 22만개 사라진다 운영자 / 2019.06.04 |
||
592 | "주 52시간제 따른 자동화로 단순 노무직 22만1000명 감소" 운영자 / 2019.06.04 |
||
591 | "주 52시간 근무제 따른 자동화로 단순노무직 22만 1천 명↓" 운영자 / 2019.06.04 |
||
590 | “주 52시간 근무제 근로시간 단축 시 단순노무직 22만명 감소” 운영자 / 2019.06.04 |
||
589 | “週52시간 근로 시행땐 단순노무 22만명 일자리 잃어” 운영자 / 2019.06.04 |
||
588 | "주52시간 근무제 따른 자동화로 단순노무직 22만1천명↓" 운영자 / 2019.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