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시간 근무제가 자동화를 촉진해 단순노무직 일자리가 22만개 가량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따라 단순노무 비정규직을 많이 고용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 탄력근무제 단위 기간을 1년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민간연구기관인 파이터치연구원은 지난 4일 ‘근로시간 단축이 자동화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단순 노무 업계의 근로시간이 1% 단축되면 자동화가 1.1% 촉진돼 종사자 22만1000명이 줄어든다고 주장했다.
마지현 연구원은 2011~2017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5개 국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에서 주 52시간 근무제로 주당 근로시간이 1.3% 단축(43.1→42.5시간)되면 자동화에 따라 단순 노무 종사자가 22만 1000명이 감소한다”고 분석했다.
마 연구원은 “OECD 국가 중 주당 근로시간이 가장 많이 단축된 국가는 우리나라(4.5%: 2011년 44.1시간 → 2017년 42.2시간)이며, OECD 국가의 평균 주당 근로시간 변화율(1.3% 감소)과 비교하면 약 3.5배 더 감소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마 연구원은 “OECD 국가 중 자동화지표가 가장 높은 국가는 우리나라(근로자 만명 당 102.2대)이며, OECD 국가의 평균 자동화지표(근로자 만명 당 21.2대)와 비교하면 약 5배 높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했다.
그는 “단순노무 비정규직을 많이 고용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 탄력근무제 단위기간을 최대한 확대(1년)해 근로자를 로봇으로 대체하지 않도록 조치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하략)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630 | [예진수 칼럼] 換亂보다 무서운 `고용후퇴 성장` 운영자 / 2019.08.01 |
||
629 | 땡볕에 둔 맥주 환불하고 옷-양말에 립스틱 칠하고... 운영자 / 2019.08.01 |
||
628 | "불매운동 중인데"...이마트 `日맥주 반값` 행사 논란 운영자 / 2019.08.01 |
||
627 | [주52시간 몸살] 탄력근무 6개월 연장없인 年실질GDP 10.7兆 ‘뚝’ 운영자 / 2019.07.17 |
||
626 | [정규직化②] "사회적 구조 해결" vs "기업 부담 가중" 운영자 / 2019.07.17 |
||
625 | 최저임금 급상승 헝가리 경제가 가르쳐준 것 운영자 / 2019.07.09 |
||
624 | [단독]"한국 성장률 OECD 상위" 정부 발표는 거짓말… 꼴찌였다 운영자 / 2019.07.09 |
||
623 | 고용진, 대형가맹점 카드수수료 하한선 도입...“중소가맹점 상한선과 더불어 상생 경제 구축” 운영자 / 2019.07.09 |
||
622 | 정부, 근로단축으로 일자리 13만개 늘어난다 했지만… 한국경제硏 "올해 10만개, 내년 23만개 줄어들 수도" 운영자 / 2019.06.27 |
||
621 | 라정주 파이터치연구원장 “근로시간↓·최저임금↑… 고용 없는 성장” 운영자 / 2019.06.26 |
||
620 | [이색분석] 카카오·네이버, ‘앱 암묵적 끼워팔기’ 논란 운영자 / 2019.06.24 |
||
619 | "文정부 中企 정책 59점"…경제·경영 전문가들 "최저임금 등 수정해야" 운영자 / 2019.06.21 |
||
618 | 목소리 빠진 `가업상속세제 개편`, 국회만 믿는다? 운영자 / 2019.06.13 |
||
617 | 장바구니와 멀어진 물가, ‘이렇게’ 담아라 운영자 / 2019.06.13 |
||
616 | 주52시간 준비하는 기업들…채용 줄이고 자동화 운영자 / 2019.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