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이 몰고올 일자리 현장의 변화 대응도 주된 논의 대상입니다. 한 민간연구소는 4차 산업혁명이 본격화되는 향후 20년간 국내에서 124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창의성과 전문성을 기반으로 하는 일자리는 33만개 정도 늘어나지만, 부품조립 등 단순 반복 일자리는 150만개 이상 사라진다는 분석입니다.
김강현 / 파이터치연구원 연구위원
"대안을 만들지 않는다면, 4차산업혁명으로 일자리 충격을 피할 수 없을 겁니다."
일자리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선 단순 반복 노동자의 전직 지원과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을 자제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 | "20년 내 일자리 124만개 사라진다"…4차 산업혁명의 그늘 운영자 / 2017.09.27 |
||
48 | "4차 산업혁명 `고용없는 성장` 불러… 근로자 보호책 필요" 운영자 / 2017.09.27 |
||
47 | "4차 산업혁명으로 일자리 124만개 사라질 것" 운영자 / 2017.09.27 |
||
46 | "4차 산업혁명으로 20년 후 우리나라 일자리 120만개 사라질 것" 운영자 / 2017.09.27 |
||
45 | "4차 산업혁명 탓에 20년 후 우리나라 일자리 120만개 사라진다" 운영자 / 2017.09.27 |
||
44 | “4차 산업혁명으로 20년 뒤 일자리 123만개 사라질 것” 운영자 / 2017.09.27 |
||
43 | "4차산업혁명, 20년간 일자리 124만개 감소시킨다" 운영자 / 2017.09.27 |
||
42 | "4차 산업혁명 탓에 20년 후 우리나라 일자리 120만개 사라진다" 운영자 / 2017.09.27 |
||
41 | 4차 산업혁명으로 20년 내 124만개 일자리 사라져…"정부 대책 마련해야" 운영자 / 2017.09.27 |
||
40 | "4차 산업혁명으로 향후 20년동안 124만개 감소할 것" 운영자 / 2017.09.27 |
||
39 | 연구발표하는 라정주 파이터치연구원 운영자 / 2017.09.27 |
||
38 | 연구발표하는 심영섭 연구위원 운영자 / 2017.09.27 |
||
37 | 연구발표하는 김강현 파이터치연구원 박사 운영자 / 2017.09.27 |
||
36 | 창립1주년 연구발표회 인사말하는 권혁조 이사장 운영자 / 2017.09.27 |
||
35 | 경과보고하는 김승일 파이터치연구원장 운영자 / 2017.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