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이 몰고올 일자리 현장의 변화 대응도 주된 논의 대상입니다. 한 민간연구소는 4차 산업혁명이 본격화되는 향후 20년간 국내에서 124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창의성과 전문성을 기반으로 하는 일자리는 33만개 정도 늘어나지만, 부품조립 등 단순 반복 일자리는 150만개 이상 사라진다는 분석입니다.
김강현 / 파이터치연구원 연구위원
"대안을 만들지 않는다면, 4차산업혁명으로 일자리 충격을 피할 수 없을 겁니다."
일자리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선 단순 반복 노동자의 전직 지원과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을 자제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102 | 파이터치연구원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결말 좋지 않을 가능성 높아” 운영자 / 2018.04.02 |
||
101 | 파이터치연구원, “최저임금 1만원 시대엔, 근로자 100만명 육박 감소” 운영자 / 2018.04.02 |
||
100 | 파이터치연구원 "최저임금 16.4% 인상으로 일자리 47만개 줄어" 운영자 / 2018.04.02 |
||
99 | 최저임금 16.4% 올리자 일자리 47만명 감소 “급격한 인상이 비극적 결말 가져올 수도” 운영자 / 2018.04.02 |
||
98 | 최저임금 16.4% 인상시 근로자 약 47만명 감소 운영자 / 2018.04.02 |
||
97 | "최저임금 인상 4차 산업혁명 영향도 고려해야" 운영자 / 2018.04.02 |
||
96 | 中企 정책틀 마련? 아! 말의 성찬이여 운영자 / 2018.04.02 |
||
95 | 4차 산업혁명 관련 핵심인력, 어떻게 양성해야 하나? 운영자 / 2018.04.02 |
||
94 | 최저임금 1만원시 일자리 96만개 감소···파이터치연구원 운영자 / 2018.04.02 |
||
93 | 파이터치연구원 "최저임금 16.4% 인상으로 일자리 47만개 ↓ 운영자 / 2018.04.02 |
||
92 | 韓 경제, 로봇에 빼앗길 일자리 `우려` 수준…4차 산업혁명시대 스마트 공장이 최우선일까 운영자 / 2018.03.12 |
||
91 | 4차 산업혁명 외치는 韓, 핵심인력은 OECD `꼴찌 수준` 운영자 / 2018.03.12 |
||
90 | 한국 4차산혁 핵심인력, OECD 절반 수준인 21% 운영자 / 2018.03.09 |
||
89 | 4차산업혁명 다가왔는데…핵심인력 비중 OECD 절반 운영자 / 2018.03.09 |
||
88 | 4차 산업혁명으로 일자리 12만개 증가, 핵심인력은 아직 OECD 절반수준 운영자 / 2018.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