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목 | 영화 상영 집중도가 제작사 간 매출 격차에 미치는 영향 |
---|---|---|
저자(역자) | 한원석 | |
발행일 | 2021.04.05 | |
소개 | 특정 영화관에서의 상영 집중도가 제작사 간 매출 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제작사가 특정 영화관과 게열 관계에 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의 효과를 비교 분석함 |
영화 상영 집중도가 제작사 간 매출격차에 미치는 영향-이슈페이퍼.pdf
□ 영화관별 영화 상영 집중도
○ 2015년부터 2018년까지의 연간 영화 상영 집중도는 씨지브이 영화관에서 씨제이 계열 제작사가 45.8-52.8%, 롯데시네마 영화관에서 롯데 계열 제작사가 34.1-40.8%, 메가박스 영화관에서 메가박스 계열 제작사가 26.7-100%로 나타남
* 주: 영화 상영 집중도란 전체 영화관에서의 영화 상영횟수 대비 특정 영화관에서의 영화 상영횟수 비율을 의미함
* 출처: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자료(2019)를 바탕으로 자체 분석
□ 영화 상영 집중도가 제작사 간 매출 격차에 미치는 영향
○ 분석방법: OLS, Fixed-Effects, Hausman-Taylor, PPML
○ 분석자료: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개봉된 영화 데이터
○ 분석결과
- A, B, C 영화관에서의 영화 상영 집중도가 각각 1% 증가하면 영화 제작사 간 매출 격차는 각각 2.2%, 1.4%, 1.6% 늘어남
- A 영화관에서의 영화 상영 집중도가 영화 제작사 간 매출 격차를 증대시키는 효과는 제작사가 A 영화관 계열사인 경우 그렇지 않은 때보다 9.1% 더 크게 나타남
* 영화 제작사가 B, C 영화관 계열사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을 때와 차이가 없음
□ 개선 방안
○ 특정 영화관에서의 영화 과다 상영 통제를 위해 영화 과다 상영 지표가 50%를 넘지 못하도록 공정거래위원회에서 통제 요망
* 영화 과다 상영 지표(%)=(특정 영화관에서의 특정 영화 상영횟수/전체 영화관에서의 특정 영화 상영횟수)*100
NO. | 제 목 | ![]() | 저자 | 발행일자 |
---|---|---|---|---|
10 | 기회불평등과 결과불평등 사례 한원석 / 2021.04.26 ![]() |
![]() | ||
# | 영화 상영 집중도가 제작사 간 매출 격차에 미치는 영향 한원석 / 2021.04.05 ![]() |
![]() | ||
8 | 노동유연성에 따른 법인세 감면의 고용 증가 효과 유한나 / 2020.07.22 ![]() |
![]() | ||
7 | 노사분규가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 한원석 / 2020.07.14 ![]() |
![]() | ||
6 | 노사분규가 자동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마지현 / 2020.07.07 ![]() |
![]() | ||
5 | 근로시간 단축이 자동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마지현 / 2019.06.04 ![]() |
![]() | ||
4 | 자동화와 고령층 일자리 유한나 / 2019.03.12 ![]() |
![]() | ||
3 | 해외사례를 통한 카드수수료 인하 영향 분석 한원석 / 2018.12.03 ![]() |
![]() | ||
2 |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핵심인력 현황 및 개선방향 -새로운 분석지표를 중심으로- 유한나 / 2018.02.23 ![]() |
![]() | ||
1 | 중소기업 정책의 새 방향 김승일 / 2017.06.29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