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금융의 역설] 서민 옥죄는 서민금융

운영자 ( 2018.10.01) , 조회수 : 1,526       ▶▶ 아주경제 (바로가기)

현 정부의 서민금융 정책이 오히려 서민들의 삶을 더 옥죄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정책 불균형으로 제도권에서 밀려난 서민들이 고금리 사채 이자에 허덕이는 경우가 증가하고, 자영업자들의 매출 감소도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중략)


김종석 자유한국당 의원은 파이터치연구원과 공동 개최한 '카드 수수료 인하 정책과 국민경제' 연구세미나에서 "신용카드 수수료를 추가로 인하하려면 카드사의 자금조달 비용을 판매자(가맹점)에서 구매자(고객)로 전환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카드사의 자금조달 비용은 회사 부담분을 제외하고 연회비(고객), 카드 수수료 일부(가맹점)로 구성된다. 자금조달 비용을 100으로 가정하면 현재 연회비 비중은 2.8 정도인데, 향후 카드 수수료가 인하되면 이 연회비 비중이 크게 오를 가능성이 높다.

그는 "고객이 연회비를 전부 부담한다고 가정할 때, 고객의 평균 연회비는 8775원에서 31만6620원으로 크게 오른다"며 "이러면 신용카드 이용금액과 신용카드 수수료가 각각 15조원, 1조원 축소되고 기업 전체(소상공인 포함) 매출과 일자리도 각각 93조원, 45만개 감소한다"고 지적했다.

사실상 서민을 위한 정부의 포용금융 정책이 서민들을 벼랑 끝으로 내모는 부작용을 발생시킨다는 지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속적인 최고금리 인하로 부도 확률이 높은 저신용계층에 대한 대출이 힘들어 더 많은 저신용 서민들이 불법 사채 시장으로 추락할 우려가 크다"며 "민심 잡기용 탁상공론에 오히려 벼랑 끝에 내몰리는 서민들이 증가하고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287 文 정부 노동현안 놓고, 사용자측 목소리 높이기 나섰다
운영자 / 2018.10.25
메트로신문 2018.10.25
286 "업종·규모·지역·연령별 구분적용"…노동현안 법 개정 촉구(종합)
운영자 / 2018.10.25
아시아경제 2018.10.25
285 "근로시간 단축 등 노사자율에 의한 정책으로 점진적 개선필요"
운영자 / 2018.10.25
뉴스1 2018.10.25
284 박성택 “급격한 노동정책… 일시적 처방보다 제도가 필요”
운영자 / 2018.10.25
매일일보 2018.10.25
283 중기중앙회, 노동현안 제도개선 토론회 개최
운영자 / 2018.10.25
브릿지경제 2018.10.25
282 "노동 현안 제도개선, 현장실태ㆍ통계에 근거둬야"
운영자 / 2018.10.25
연합뉴스 2018.10.25
281 "노동정책, 통계 기반으로 근본적인 대안 만들어야"
운영자 / 2018.10.25
파이낸셜뉴스 2018.10.25
280 중소기업계 "근로시간·임금 등 현장실태 반영한 제도개선 필요"
운영자 / 2018.10.25
뉴스핌 2018.10.25
279 “근로시간 규제 노사자율에 의한 정책되게 점진적 개선 필요”
운영자 / 2018.10.25
아시아투데이 2018.10.25
278 "근로시간, 노사자율로 바꿔야" 중기중앙회 `노동현안 토론회`
운영자 / 2018.10.25
이데일리 2018.10.25
277 "노동현안은 현장실태와 통계기반으로 논의해야"…제도개선 토론회
운영자 / 2018.10.25
아시아경제 2018.10.25
276 중소기업계 “근로시간ㆍ최저임금ㆍ유급주휴일 제도 개선해야”
운영자 / 2018.10.25
이투데이 2018.10.25
275 中企 “노동현안에 현장 실태·통계 반영해야”
운영자 / 2018.10.25
이뉴스투데이 2018.10.25
274 카드 가맹점 수수료 1조원 깎아준다?..."연회비 인상 불가피, 소비자 부담으로"
운영자 / 2018.10.25
BBS NEWS 2018.10.25
273 "최저임금 인상, 생산가능인구 고려해도 취업자수 영향 있다"
운영자 / 2018.10.25
뉴스토마토 2018.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