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2시간 근무제가 약 40만개의 일자리와 약 10조원의 국내총생산(GDP)을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총 임금소득도 5조6000억원 줄어들 뿐 아니라 소비와 투자까지 위축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
■주52시간 근무제로 일자리도 줄어
파이터치연구원이 19일 내놓은 '주52 근로시간 단축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주52시간 근무제 시행 시 연간 일자리가 약 40만개, 총 임금소득 약 5조6000억원, 실질 GDP 약 10조7000억원, 소비 약 5조5000억원, 투자 약 1조8000억원, 기업 수 약 7만7000개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간 23만5000개의 숙련공(비반복적 노동)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비숙련공 일자리 감소의 약 1.4배에 해당한다.
일자리는 근로시간 단축으로 노동공급이 감소하고, 단위임금이 상승하면서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고 GDP와 투자는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생산이 줄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파이터치연구원은 기획재정부로부터 허가를 받아 설립된 비영리 재단법인이다. 파이터치연구원의 김재현 연구위원은 "소비는 총 임금소득이 줄면서 함께 감소한다"며 "투자는 생산이 줄면서 기업 수는 숙련공의 근로시간이 단축되면서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하략)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424 | "가업상속공제 대상 매출 1조로 늘리면 20년간 매출 52조·고용 1770명 증가" 운영자 / 2019.02.21 |
||
423 | 한경연 “가업상속공제 대상 1조 확대시 매출 52조·고용 1770명 증가” 운영자 / 2019.02.20 |
||
422 | 한경연 "가업상속공제 1조 확대시 매출 52조·고용 1770명↑" 운영자 / 2019.02.20 |
||
421 | 한경연 "가업상속공제 대상 늘리면 일자리 1,770개 생겨" 운영자 / 2019.02.20 |
||
420 | "가업상속공제 제도 개선으로 기업성장 방해요인 제거해야" 운영자 / 2019.02.20 |
||
419 | 한경연 "가업상속공제 대상 확대시 고용 1770명 증가" 운영자 / 2019.02.20 |
||
418 | 가업상속공제 확대 시 매출 52조·고용 1770명 증가 운영자 / 2019.02.20 |
||
417 | “근로시간 단축시, 일자리‧총 임금소득‧GDP 감소” 운영자 / 2019.02.20 |
||
416 | 한경연 “가업상속공제 대상 1조원으로 확대 시 매출 52兆·고용 1770명 증가” 운영자 / 2019.02.20 |
||
415 | 한경연 “가업상속공제 대상 1조 확대시 매출 52조·고용 1,770명 증가” 운영자 / 2019.02.20 |
||
414 | 한경연 “가업상속공제 대상, 1조원으로 확대해야” 운영자 / 2019.02.20 |
||
413 | 가업상속공제 대상 확대시 매출 52조·고용 1700명↑..법인세도 늘어 운영자 / 2019.02.20 |
||
412 | `가업상속공제` 1조원으로 확대하면 매출 52조·고용 1770명 증가 운영자 / 2019.02.20 |
||
411 | "가업상속공제 확대하면 매출 52조·고용 1770명 증가" 운영자 / 2019.02.20 |
||
410 | "가업상속공제 대상 1조원 확대하면 고용 1770명 증가" 운영자 / 2019.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