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서구에서 편의점을 운영하는 김모 사장은 오후 7시 퇴근하자마자 음식 배달 앱을 켠다. 서너 시간 정도 아귀찜 등을 나르면서 버는 일당은 3만~4만원. 김 사장이 매일 라이더로 변신하는 건 코로나19로 수입이 감소한 데다 편의점 직원에게 지급하는 시급마저 크게 올라서다. “알바생에게 돈을 주기 위해 알바를 뛰고 있다”는 자조적 푸념을 내뱉는 이유다.
편의점 업계는 최저임금이 크게 오른 2018년 이후 이런 현상이 늘었다고 단언한다. 24시간 점포 운영을 위해 채용한 직원들의 인건비를 충당하려 배달은 물론 대리운전에 나선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최저임금이 더 오르면 남은 수단은 ‘폐업’밖에 없다는 절박감을 호소하고 있다.
갈수록 커지는 '노동 리스크'
한국의 최저임금은 현재 시간당 8720원이다. 2017년 6470원이던 최저임금은 정부가 ‘소득주도성장’을 내세우면서 가파른 상승세를 그렸다. 2018년(7530원)과 2019년(8350원) 상승률은 각각 16.4%, 10.9%에 이른다.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즉 직원을 채용하지 않고 사장 혼자 일하는 자영업자가 급증하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부터다.
그런가 하면 중소기업계는 원자재 가격 급등에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까지 겹쳐 허덕이고 있다. 특히 인력이 많이 필요한 업종일수록 위기감이 크다. 반월산업단지 내 염색가공업체 밀집 지역에선 70여 개 업체 중 20% 정도가 기계 분야 등 인건비 비중이 낮은 업종으로 바뀌었다. 최저임금이 급격히 오른 최근 2~3년 새 벌어진 일이다.
한국의 최저임금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도 높은 수준이다. 파이터치연구원에 따르면 28개 회원국(데이터 제공 기준) 가운데 정규직 근로자의 중위값 임금 대비 한국의 최저임금 비율은 2019년 터키, 칠레, 뉴질랜드에 이어 4위를 기록했다. 2017년의 14위에서 껑충 뛰어올랐다.
(하략)
|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 1976 | [브릿지 칼럼] 급증하는 국가부채, 재정준칙 절실할 때운영자 / 2025.10.24 |
||
| 1975 | 보유세 올리면, 월세도 오른다[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10.20 |
||
| 1974 | 환율 1420원 돌파, 5개월 만에 `최고`…증시 반등 속 `불안한 변수` 운영자 / 2025.10.10 |
||
| 1973 |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결국 통과된 `노란봉투법`, 후폭풍 최소화하려면 운영자 / 2025.09.30 |
||
| 1972 | [브릿지 칼럼] 중대재해 처벌만이 능사 아니다 운영자 / 2025.09.25 |
||
| 1971 | 노란봉투법·주4.5일제 겹호재…로봇株 정책 수혜주 급부상 운영자 / 2025.09.22 |
||
| 1970 | 주 4.5일제, 노동시간 단축이 불러올 산재의 그림자 [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9.18 |
||
| 1969 | 호황장 속 자동차株만 역주행…"관세·노조 리스크 겹쳤다" 운영자 / 2025.09.18 |
||
| 1968 | 코스피 최고치 경신했지만…`5000 시대` 위한 과제는 운영자 / 2025.09.11 |
||
| 1967 | [뉴스락 특별기획]`노란봉투법`과 `K로봇`의 동상이몽...기로에 선 K-제조업 운영자 / 2025.09.10 |
||
| 1966 |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주 4.5일제 논의에서 놓친 것...비숙련공의 `학습 효과` 운영자 / 2025.09.01 |
||
| 1965 | 지역中企 ‘노란봉투법·한미정상회담’에 촉각 운영자 / 2025.08.25 |
||
| 1964 | [브릿지 칼럼] 노란봉투법 도입에 따른 경제적 손실 운영자 / 2025.08.25 |
||
| 1963 | 與, 노란봉투법 오늘 처리 예정…경제계, 李정권 마이웨이에 불만 가득 운영자 / 2025.08.25 |
||
| 1962 | `노란봉투법` 강행 앞두고 반발 여론 고조…조정 필요성 대두 운영자 / 2025.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