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 보호 수준 높을수록 일자리 증가"

운영자 ( 2021.09.15) , 조회수 : 1,713       ▶▶ 서울경제 (바로가기)

특허 보호 수준을 높일수록 일자리가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5일 파이터치연구원 유한나 선임연구원은 '특허 보호 수준에 따른 특허의 고용 증가 효과' 보고서에서 특허 보호 수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2개 국가 가운데 최하위 수준일 때는 특허 수가 1% 증가 시 고용률이 0.01% 감소했지만 특허 보호 수준이 OECD 국가 가운데 최고 수준일 때는 특허 수가 1% 증가 시 고용률이 0.03% 증가했다고 밝혔다. 유 연구원은 "특허 보호 수준이 낮을 때는 특허 보호에 따른 수익이 없고 오히려 투입된 비용으로 손해를 입어 고용에 줄여야 하는 상황에 이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특허 보호를 독일 수준으로 높인다면 중소기업 일자리는 삼성의 연간 공채 규모보다 큰 1만8,000개, 중견·대기업 일자리는 4,000개가 창출된다"고 말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인공지능(AI) 분야 특허를 살펴봤더니 우리나라의 특허 수는 2018년 기준 3만8,842개로 상위 25개 국가 가운데 4위였다. 그러나 특허 보호 수준은 10점 만점에 7.76점으로 23위에 머물렀다.


유 연구원은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개발해도 다른 이가 쉽게 모방할 수 있기 때문에 특허 개발 확대뿐 아니라 특허 보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1962 `노란봉투법` 강행 앞두고 반발 여론 고조…조정 필요성 대두
운영자 / 2025.08.25
오피니언뉴스 2025.08.25
1961 "기업 의견은 듣지도 않고"…`노란봉투법·상법·세제` 줄줄이 강행 [李율배반]
운영자 / 2025.08.25
데일리안 2025.08.25
1960 주식양도세 강화, 주가만 내리고 집값은 올린다[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8.12
시사저널 2025.08.12
1959 "편법 조장하는 대주주 과세기준 강화…세수 효과는 미미"
운영자 / 2025.08.07
더팩트 2025.08.07
1958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최저임금 인상되는데...정규직·비정규직 임금 격차 확대되는 이유
운영자 / 2025.08.01
월드경제 2025.08.01
1957 與 노란봉투법 강행 후폭풍…13개 업종별 단체까지 나선 이유는
운영자 / 2025.07.30
데일리안 2025.07.30
1956 "美 관세도 버거운데, 규제 쓰나미까지"…韓 재계 `진퇴양난`
운영자 / 2025.07.30
뉴스1 2025.07.30
1955 [사설] 밖에서 핍박받고 안에서도 치이고…기업들 설 땅이 없다
운영자 / 2025.07.30
한국경제 2025.07.30
1954 고용장관 "노란봉투법, 노사 성장 기반"…경영계 `반발`
운영자 / 2025.07.30
SBS Biz 2025.07.30
1953 경제8단체 “노란봉투법 강행에 참담”… 재검토 호소
운영자 / 2025.07.29
문화일보 2025.07.29
1952 “노란봉투법 시행땐 GDP 최대 15조 감소”
운영자 / 2025.07.29
문화일보 2025.07.29
1951 [라이프스타일] 주 4.5일제 논의에 `비숙련공` 포함해야
운영자 / 2025.07.29
신아일보 2025.07.29
1950 근로자 급여 뛸 때, 일자리는 증발…최저임금의 두 얼굴
운영자 / 2025.07.21
한국경제 2025.07.21
1949 [브릿지 칼럼] 최저임금 인상의 역설
운영자 / 2025.07.21
브릿지경제 2025.07.21
1948 [여의로]소상공인들, 최저임금 근본적 개편 필요
운영자 / 2025.07.18
아시아투데이 2025.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