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 view]가계부채 시한폭탄 키운 정책들

운영자 ( 2021.12.28) , 조회수 : 1,697       ▶▶ 이데일리 (바로가기)

[라정주 (재)파이터치연구원장] 최근 한국은행 금융안정상황보고서에 따르면, 금융기관 대출과 외상구매를 모두 포함하는 가계신용은 올 2분기말 기준 1805조9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3%가 늘어났다. 국제금융협회의 ‘세계 부채 모니터’ 보고서에 따르면, 같은 시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4.2%이다. 분석대상 36개국 중 가장 높은 비율이다. 전 세계 평균은 65.5%이다. 우리나라의 경제규모에 비해 가계부채가 과도하게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겉으로 보기에 덩치가 크다고 해서 그 자체가 문제라고 할 수는 없다. 진짜 문제는 가계부채의 속이다. 가계부채의 속을 들여다보면 더욱 심각하다. 가계부채의 속은 고위험가구를 통한 분석으로 가능하다.


고위험가구란 소득 대비 총부채원리금 비율(DSR)이 40%를 넘고, 자산 대비 부채 비율(DTA)이 100%를 초과하는 가구를 의미한다. 이 두 지표는 가계부채를 소득이나 자산으로 갚을 수 있을지 여부를 보여준다.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고위험가구수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30만~32만 가구에서 2019년 37만 6000 가구, 2020년 40만 3000 가구로 급등하고 있다. 고위험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도 2017년 56조 5000억원에서 2020년 79조 8000억원으로 급증했다. 고위험가구 중 무직가구수는 2018년 4만 가구에서 2020년 6만 6000 가구로 크게 늘어났다. 고위험가구 중 무직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는 2016년 3조원에서 2020년 6조5000억원으로 배 이상 증가했다. 한마디로 최근 가계부채의 속은 크게 썩어 들어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겉과 속 모두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특히 현 정부 들어 이런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대한 고집, 부동산 정책의 실패, 여기에 최근 코로나사태의 파장 때문으로 보인다.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핵심수단으로 최저임금을 2018년부터 2019년까지 29% 가량 인상시켜 최저임금을 받던 상당수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었다.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은 자영업자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인건비를 크게 인상시켰고 이를 감당할 수 없었던 사업자들은 종업원을 해고할 수밖에 없었다.


(하략)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1978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집값 잡으려고 규제하는데, 오히려 치솟는 이유
운영자 / 2025.11.07
월드경제 2025.11.07
1977 [라이프스타일]보유세 인상은 월세 폭등의 촉매제
운영자 / 2025.10.31
신아일보 2025.10.31
1976 [브릿지 칼럼] 급증하는 국가부채, 재정준칙 절실할 때
운영자 / 2025.10.24
브릿지칼럼 2025.10.24
1975 보유세 올리면, 월세도 오른다[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10.20
시사저널 2025.10.20
1974 환율 1420원 돌파, 5개월 만에 `최고`…증시 반등 속 `불안한 변수`
운영자 / 2025.10.10
더팩트 2025.10.10
1973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결국 통과된 `노란봉투법`, 후폭풍 최소화하려면
운영자 / 2025.09.30
월드경제 2025.09.30
1972 [브릿지 칼럼] 중대재해 처벌만이 능사 아니다
운영자 / 2025.09.25
브릿지경제 2025.09.25
1971 노란봉투법·주4.5일제 겹호재…로봇株 정책 수혜주 급부상
운영자 / 2025.09.22
더팩트 2025.09.22
1970 주 4.5일제, 노동시간 단축이 불러올 산재의 그림자 [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9.18
시사저널 2025.09.18
1969 호황장 속 자동차株만 역주행…"관세·노조 리스크 겹쳤다"
운영자 / 2025.09.18
더팩트 2025.09.18
1968 코스피 최고치 경신했지만…`5000 시대` 위한 과제는
운영자 / 2025.09.11
더팩트 2025.09.11
1967 [뉴스락 특별기획]`노란봉투법`과 `K로봇`의 동상이몽...기로에 선 K-제조업
운영자 / 2025.09.10
뉴스락 2025.09.10
1966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주 4.5일제 논의에서 놓친 것...비숙련공의 `학습 효과`
운영자 / 2025.09.01
월드경제 2025.09.01
1965 지역中企 ‘노란봉투법·한미정상회담’에 촉각
운영자 / 2025.08.25
금강일보 2025.08.25
1964 [브릿지 칼럼] 노란봉투법 도입에 따른 경제적 손실
운영자 / 2025.08.25
브릿지경제 2025.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