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는 가족과 가문을 중시하는 국가였다. 가장(家長)의 권한은 절대적이었다. 가족에 대한 생사여탈은 물론 노예 등 일가의 모든 소유권이 가장에게 귀속됐다. 로마법상 가족을 지칭하는 단어 ‘파밀리아(familia)’는 재산까지 포함하는 의미였다고 한다. 이런 전통은 로마법의 영향을 깊이 받은 대륙법 권역의 국가로 이어진다.
유럽에 소유와 경영이 일치된 가족기업이 많은 건 이런 배경에서다. 독일은 제조업에서 가족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85%다. 스페인, 스웨덴 등도 44% 이상이다.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가족 자본주의의 챔피언’으로 불릴 정도다. 반면 역사가 짧은 미국을 비롯해 영국, 캐나다, 호주 등 영미법을 따르는 나라들은 소유와 경영이 분리된 주식회사가 더 일반적이다. 가족기업의 비중(24%)도 작다. 한국은 유럽에 가깝다. 전체 기업 가운데 가족기업 비중이 74%에 이른다.
(중략)
부자 감세 논란이 불편하거나 무분별한 지원이 우려된다면 일정 요건을 갖춘 혁신기업에 인센티브를 집중하는 것도 방법이다. 혁신기업에 대한 상속세율을 100% 감면하면 실질 국내총생산(GDP)과 일자리가 각각 6조원, 3만 개 증가한다는 것이 파이터치연구원의 분석이다. 2003년 상속세율을 20%에서 1.2%로 인하한 그리스에선 가족기업 투자가 4.2% 증가했다. 한국 경영계에 도래한 ‘승계의 시기’를 제대로 넘기지 못하면 ‘제조업 강국’ 등의 수식어는 역사의 흔적으로만 남을지도 모른다.
|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 1841 | 파이터치연구원 "실업급여 올린뒤 비정규직 24만명 ↑" 운영자 / 2025.03.18 |
||
| 1840 | "실업급여 인상할수록 비정규직 늘어…수급요건 강화해야" 운영자 / 2025.03.18 |
||
| 1839 | 일자리와 성장, 기업상속세 감면이 해법이다 [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3.14 |
||
| 1838 | [브릿지 칼럼] 주 52시간제, 성역처럼 여겨선 안 돼 운영자 / 2025.03.04 |
||
| 1837 | [데스크 칼럼] 기업 혁신 막는 상속세제 운영자 / 2025.02.28 |
||
| 1836 | ′주52시간 굴레′ 中企, 존폐 위기 호소… 고환율·관세도 부담 운영자 / 2025.02.24 |
||
| 1835 | 트럼프발 관세 폭탄에 中企 매출 1.2조 타격...업계 "정부지원 절실" 운영자 / 2025.02.14 |
||
| 1834 | 고금리·다중채무 위기 속 자영업자, 자동장부로 금융비용 낮출 수 있다[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2.10 |
||
| 1833 |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상속세 완화, 부자 감세 아닌 `일자리 증가` 정책입니다 운영자 / 2025.02.06 |
||
| 1832 | 자영업자, 자동장부 사용하면 대출금리, 재고량 낮아져 운영자 / 2025.02.05 |
||
| 1831 | [벤처 1000억 기업의 성장 조건] 글로벌 시장 진출이 기업 성패 좌우 운영자 / 2025.02.04 |
||
| 1830 | [브릿지 칼럼] 위기의 자영업자 구하려면 운영자 / 2025.01.23 |
||
| 1829 | “철근 단가 그대론데 원가·인건비 급등”… 중소기업, 줄도산 위기 운영자 / 2025.01.22 |
||
| 1828 | [노트북 너머] 최저시급 1만·폐업 100만 시대 동시 개막…업종별 구분 적용 절실 운영자 / 2025.01.20 |
||
| 1827 | [라정주의 경제터치] 가업상속세, 혁신의 날개인가 족쇄인가 운영자 / 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