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 칼럼] 연금개혁의 묘안이 될 자동조정장치

운영자 ( 2024.11.19) , 조회수 : 658       ▶▶ 브릿지경제 (바로가기)

지난 9월 연금개혁에 대한 정부 단일안이 제시됐다. 정부 차원에서 단일안이 제시된 것은 2003년 노무현 정부 이후 21년만이다. 덕분에 지지부진했던 연금개혁 논의가 다시금 탄력을 받게 됐다. 이번에 발표된 정부 개혁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험료율은 기존 9%에서 13%로 인상된다. 소득대체율(생애 평균소득 대비 연금 수령액 비율)의 경우 기존 40%에서 42%로 높아진다. 여기서 보험료율은 세대별로 인상 속도가 달리 적용된다. 젊은 세대의 보험료율 인상 속도를 더 천천히 함으로써 세대 간 형평성을 제고하겠다는 취지다. 또한, 재정 안정화를 위해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하는 방안도 제안됐다.

특히 이 중 현재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이 자동조정장치의 도입이다. 자동조정장치란 인구구조나 경제상황 변화에 따라 연금 수령액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다. 예를 들어, 연금 수령액이 연 1000만원이고, 그해 물가상승률이 3%였다고 가정해보자. 연금 수령액은 매년 물가상승률만큼 인상되기 때문에 이듬해 연금 수령액은 연 1030만원으로 인상된다. 반면,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하면, 물가상승률과 인구구조 변화를 함께 고려해 연금 수령액이 결정된다. 즉, 물가상승률이 3%인 상황에서 연금 가입자 수가 1% 줄고 기대여명이 0.5% 늘었다면, 연금 수령액은 1.5%(3%-1%-0.5%) 증가한 연 1015만원이 된다.

(중략)

정부에 따르면, 개혁 없이 현행 제도를 운영할 경우 지급하기로 약속한 연금액 부족분은 2093년 기준 2331조원에 달한다.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을 조정하는 온건한 개혁만으로는 후세대에게 전가될 이런 막대한 부담을 막을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 자동조정장치 도입은 연금 개혁의 묘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국민연금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미래 세대에게 보다 공정한 연금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이번 개혁안은 단순한 정책 변화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발걸음으로 볼 수 있다.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1970 주 4.5일제, 노동시간 단축이 불러올 산재의 그림자 [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9.18
시사저널 2025.09.18
1969 호황장 속 자동차株만 역주행…"관세·노조 리스크 겹쳤다"
운영자 / 2025.09.18
더팩트 2025.09.18
1968 코스피 최고치 경신했지만…`5000 시대` 위한 과제는
운영자 / 2025.09.11
더팩트 2025.09.11
1967 [뉴스락 특별기획]`노란봉투법`과 `K로봇`의 동상이몽...기로에 선 K-제조업
운영자 / 2025.09.10
뉴스락 2025.09.10
1966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주 4.5일제 논의에서 놓친 것...비숙련공의 `학습 효과`
운영자 / 2025.09.01
월드경제 2025.09.01
1965 지역中企 ‘노란봉투법·한미정상회담’에 촉각
운영자 / 2025.08.25
금강일보 2025.08.25
1964 [브릿지 칼럼] 노란봉투법 도입에 따른 경제적 손실
운영자 / 2025.08.25
브릿지경제 2025.08.25
1963 與, 노란봉투법 오늘 처리 예정…경제계, 李정권 마이웨이에 불만 가득
운영자 / 2025.08.25
데일리안 2025.08.25
1962 `노란봉투법` 강행 앞두고 반발 여론 고조…조정 필요성 대두
운영자 / 2025.08.25
오피니언뉴스 2025.08.25
1961 "기업 의견은 듣지도 않고"…`노란봉투법·상법·세제` 줄줄이 강행 [李율배반]
운영자 / 2025.08.25
데일리안 2025.08.25
1960 주식양도세 강화, 주가만 내리고 집값은 올린다[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8.12
시사저널 2025.08.12
1959 "편법 조장하는 대주주 과세기준 강화…세수 효과는 미미"
운영자 / 2025.08.07
더팩트 2025.08.07
1958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최저임금 인상되는데...정규직·비정규직 임금 격차 확대되는 이유
운영자 / 2025.08.01
월드경제 2025.08.01
1957 與 노란봉투법 강행 후폭풍…13개 업종별 단체까지 나선 이유는
운영자 / 2025.07.30
데일리안 2025.07.30
1956 "美 관세도 버거운데, 규제 쓰나미까지"…韓 재계 `진퇴양난`
운영자 / 2025.07.30
뉴스1 2025.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