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정주의 경제터치] 노사협력 증대되면 일자리는 얼마나 늘까

운영자 ( 2024.12.06) , 조회수 : 791       ▶▶ 시사저널 (바로가기)

최근 출근길이 너무 힘들다.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의 준법투쟁(태업)에 설상가상으로 서울교통공사노조의 태업까지 겹쳤기 때문이다. 이들은 인력충원과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태업에 나선 데 이어 곧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위협하고 있다. 이렇게 시민들의 발을 담보로 노조의 실력행사는 종종 있어왔다.


우리나라의 노사협력수준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매우 뒤처져 있다. 세계경제포럼에서 발행하는 '글로벌 경쟁력지수'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노사협력지수는 2007년부터 2019년까지 연 평균 3.6점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노사협력지수는 1~7점까지 분포돼 있고, 7점에 가까울수록 노사관계가 협력적이다는 의미다. OECD 국가 중 노사협력지수가 가장 높은 국가는 스위스로 6.1점을 기록했다. OECD 국가의 평균은 4.8점으로 우리나라와는 상당한 괴리가 있다.


(중략)


우리나라의 노동시장 경직성은 매우 심각하다. 세계경제포럼에서 발행하는 '글로벌 경쟁력지수'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우리나라의 노동시장 융통성은 141개 국가 중 97위다. 전체 국가경쟁력수준이 13위인데 반해 너무 취약하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에서 발표하는 국가경쟁력 순위도 이를 뒷받침한다. 2023년 기준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64개 국가 중 28위를 기록했으나 노동시장 관련 순위는 39위로 상대적으로 낮다. 이렇게 노동시장 경직성이 심하게 나타나는 배경에는 호전적인 노조가 있다. 노조가 사측과 보다 협력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면, 일자리도 늘고 소득 불평등도 줄 것이다. 이를 위해선 노사 모두 노력해야겠지만 무엇보다 정부에서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면, 임단협 교섭을 노사분규 없이 마무리한 노조에게 임단협 준비비용을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대만의 경우 노사분규 없이 단체협약을 체결한 노조가 준비비용을 신청하면 최대 약 1400만원까지 지원한다.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1922 "최저임금 14.7% 올리면 비정규직 근로시간은 17시간 감소"
운영자 / 2025.06.26
한국경제 2025.06.26
1921 내년도 최저요금 14.7% 인상 시 정규·비정규직 간 17시간 근로시간 격차 발생
운영자 / 2025.06.26
전기신문 2025.06.26
1920 최저임금 인상, 정규-비정규직 임금소득 격차 확대 유발
운영자 / 2025.06.26
신아일보 2025.06.26
1919 “최저임금 14.7% 인상하면…정규직-비정규직 근로시간 격차 더 벌어져”
운영자 / 2025.06.26
헤럴드경제 2025.06.26
1918 "어, 월급 왜 줄었지?"…`최저임금 11500원`의 미래
운영자 / 2025.06.26
이데일리 2025.06.26
1917 “최저임금 인상땐 근로자 고용보험 부담 27.3% ↑”
운영자 / 2025.06.24
문화일보 2025.06.24
1916 “인건비탓 직원 절반 줄여… 최저임금 오르면 더는 못버틴다”
운영자 / 2025.06.24
문화일보 2025.06.24
1915 [기획] “우리도 살고 싶다”…中企·小工, 인상 반대 전면전
운영자 / 2025.06.24
매일일보 2025.06.24
1914 최저임금의 역설, 일자리가 사라진다[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6.17
시사저널 2025.06.17
1913 [브릿지 칼럼] 저출생 해법, 결혼을 위한 주거비 부담 낮춰야
운영자 / 2025.06.17
브릿지경제 2025.06.17
1912 [데스크 칼럼] 독일 `하르츠 개혁`의 교훈
운영자 / 2025.06.16
한국경제 2025.06.16
1911 ‘공포의 시간’ 다가온다… 최저임금 인상폭에 편의점 `초긴장`
운영자 / 2025.06.12
아시아타임즈 2025.06.12
1910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자영업자 30초마다 망하는데...최저임금 이대로 둘 건가
운영자 / 2025.05.28
월드경제 2025.05.28
1909 주 4.5일제가 놓친 변수, `학습의 시간` [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5.14
시사저널 2025.05.14
1908 [브릿지 칼럼] 대미 투자 기회비용 371조, 관세 협상 지렛대로
운영자 / 2025.05.12
브릿지경제 202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