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출근길이 너무 힘들다.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의 준법투쟁(태업)에 설상가상으로 서울교통공사노조의 태업까지 겹쳤기 때문이다. 이들은 인력충원과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태업에 나선 데 이어 곧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위협하고 있다. 이렇게 시민들의 발을 담보로 노조의 실력행사는 종종 있어왔다.
우리나라의 노사협력수준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매우 뒤처져 있다. 세계경제포럼에서 발행하는 '글로벌 경쟁력지수'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노사협력지수는 2007년부터 2019년까지 연 평균 3.6점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노사협력지수는 1~7점까지 분포돼 있고, 7점에 가까울수록 노사관계가 협력적이다는 의미다. OECD 국가 중 노사협력지수가 가장 높은 국가는 스위스로 6.1점을 기록했다. OECD 국가의 평균은 4.8점으로 우리나라와는 상당한 괴리가 있다.
(중략)
우리나라의 노동시장 경직성은 매우 심각하다. 세계경제포럼에서 발행하는 '글로벌 경쟁력지수'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우리나라의 노동시장 융통성은 141개 국가 중 97위다. 전체 국가경쟁력수준이 13위인데 반해 너무 취약하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에서 발표하는 국가경쟁력 순위도 이를 뒷받침한다. 2023년 기준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64개 국가 중 28위를 기록했으나 노동시장 관련 순위는 39위로 상대적으로 낮다. 이렇게 노동시장 경직성이 심하게 나타나는 배경에는 호전적인 노조가 있다. 노조가 사측과 보다 협력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면, 일자리도 늘고 소득 불평등도 줄 것이다. 이를 위해선 노사 모두 노력해야겠지만 무엇보다 정부에서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면, 임단협 교섭을 노사분규 없이 마무리한 노조에게 임단협 준비비용을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대만의 경우 노사분규 없이 단체협약을 체결한 노조가 준비비용을 신청하면 최대 약 1400만원까지 지원한다.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1849 | "실업급여 올린 뒤 비정규직 24만명 증가…일하는 사람과 임금역전도" 운영자 / 2025.03.18 |
||
1848 | 파이터치연구원 "변경된 실업 급여 제도로 비정규직 24만명 증가" 운영자 / 2025.03.18 |
||
1847 | “변경된 실업급여 제도로 비정규직 24만 명 증가…이전으로 돌려야” 운영자 / 2025.03.18 |
||
1846 | "실업급여 늘렸더니 6년 만에…" 충격 결과 나왔다 운영자 / 2025.03.18 |
||
1845 | “실업급여 늘자 비정규직 24만명 증가… 지급액 되돌려야” 운영자 / 2025.03.18 |
||
1844 | 실업급여 올리니 비정규직 증가…5년간 24만명 늘었다 운영자 / 2025.03.18 |
||
1843 | “어차피 실업급여 주니까” 비정규직 24만명 늘었다 운영자 / 2025.03.18 |
||
1842 | 파이터치연구원 “변경된 실업급여 제도로 비정규직 24만명 늘어” 운영자 / 2025.03.18 |
||
1841 | 파이터치연구원 "실업급여 올린뒤 비정규직 24만명 ↑" 운영자 / 2025.03.18 |
||
1840 | "실업급여 인상할수록 비정규직 늘어…수급요건 강화해야" 운영자 / 2025.03.18 |
||
1839 | 일자리와 성장, 기업상속세 감면이 해법이다 [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3.14 |
||
1838 | [브릿지 칼럼] 주 52시간제, 성역처럼 여겨선 안 돼 운영자 / 2025.03.04 |
||
1837 | [데스크 칼럼] 기업 혁신 막는 상속세제 운영자 / 2025.02.28 |
||
1836 | ′주52시간 굴레′ 中企, 존폐 위기 호소… 고환율·관세도 부담 운영자 / 2025.02.24 |
||
1835 | 트럼프발 관세 폭탄에 中企 매출 1.2조 타격...업계 "정부지원 절실" 운영자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