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는 대표적인 고용 안전망이지만, 그 확대가 언제나 '좋은 결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특히, 비정규직의 증가와 같은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타날 경우, 또 다른 사회적 비용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문재인 정부 시절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가 선언되며 한때 비정규직 축소에 대한 기대가 컸다. 그러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비정규직 수는 2019년 8월 748만 1000명에서 2024년 8월 845만 9000명으로 13.1% 증가했다. 정부 정책과 상반된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주목할 만한 요인 중 하나로 '실업급여 인상'이 꼽힌다. 실업급여 제도는 본래 실직자의 생계를 일시적으로 보장하고, 재취업을 유도하는 장치다. 하지만 급여 수준이 지나치게 높거나 수급 요건이 느슨할 경우, 일할 유인을 떨어뜨리고, 도덕적 해이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정규직보다는 비정규직 영역에서 이 같은 현상이 더 자주 나타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자료를 바탕으로 유럽 20개국의 2005년부터 2022년까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실업 전 평균임금 대비 실업급여 비율'과 '전체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율' 간에는 상관계수 27점(100점 만점 기준)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확인됐다. 이는 실업급여 비중이 높을수록 비정규직 비중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뜻이다.
(중략)
결국, 정규직 유도보다 실업급여의 수급을 용이하게 하는 현 제도는 고용 시장을 왜곡시킨다. 실업급여 제도는 사회적 안전망이자, 동시에 노동시장 구조를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다. 그 구조가 균형을 잃는다면, 사회 전체가 막대한 비용을 치르게 될 것이다.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1924 | "노동계 요구대로 내년 최저임금 올리면 비정규직 근로시간 더 줄어" 운영자 / 2025.06.26 |
||
1923 | 파이터치연구원 “최저임금 오르면 정규ㆍ비정규직 근로시간 차이로 소득 격차 확대” 운영자 / 2025.06.26 |
||
1922 | "최저임금 14.7% 올리면 비정규직 근로시간은 17시간 감소" 운영자 / 2025.06.26 |
||
1921 | 내년도 최저요금 14.7% 인상 시 정규·비정규직 간 17시간 근로시간 격차 발생 운영자 / 2025.06.26 |
||
1920 | 최저임금 인상, 정규-비정규직 임금소득 격차 확대 유발 운영자 / 2025.06.26 |
||
1919 | “최저임금 14.7% 인상하면…정규직-비정규직 근로시간 격차 더 벌어져” 운영자 / 2025.06.26 |
||
1918 | "어, 월급 왜 줄었지?"…`최저임금 11500원`의 미래 운영자 / 2025.06.26 |
||
1917 | “최저임금 인상땐 근로자 고용보험 부담 27.3% ↑” 운영자 / 2025.06.24 |
||
1916 | “인건비탓 직원 절반 줄여… 최저임금 오르면 더는 못버틴다” 운영자 / 2025.06.24 |
||
1915 | [기획] “우리도 살고 싶다”…中企·小工, 인상 반대 전면전 운영자 / 2025.06.24 |
||
1914 | 최저임금의 역설, 일자리가 사라진다[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6.17 |
||
1913 | [브릿지 칼럼] 저출생 해법, 결혼을 위한 주거비 부담 낮춰야 운영자 / 2025.06.17 |
||
1912 | [데스크 칼럼] 독일 `하르츠 개혁`의 교훈 운영자 / 2025.06.16 |
||
1911 | ‘공포의 시간’ 다가온다… 최저임금 인상폭에 편의점 `초긴장` 운영자 / 2025.06.12 |
||
1910 |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자영업자 30초마다 망하는데...최저임금 이대로 둘 건가 운영자 / 2025.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