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의 역설…고용안전망이 비정규직 유입창구로 [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4.15) , 조회수 : 331       ▶▶ 시사저널 (바로가기)

실업급여는 대표적인 고용 안전망이지만, 그 확대가 언제나 '좋은 결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특히, 비정규직의 증가와 같은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타날 경우, 또 다른 사회적 비용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문재인 정부 시절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가 선언되며 한때 비정규직 축소에 대한 기대가 컸다. 그러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비정규직 수는 2019년 8월 748만 1000명에서 2024년 8월 845만 9000명으로 13.1% 증가했다. 정부 정책과 상반된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주목할 만한 요인 중 하나로 '실업급여 인상'이 꼽힌다. 실업급여 제도는 본래 실직자의 생계를 일시적으로 보장하고, 재취업을 유도하는 장치다. 하지만 급여 수준이 지나치게 높거나 수급 요건이 느슨할 경우, 일할 유인을 떨어뜨리고, 도덕적 해이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정규직보다는 비정규직 영역에서 이 같은 현상이 더 자주 나타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자료를 바탕으로 유럽 20개국의 2005년부터 2022년까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실업 전 평균임금 대비 실업급여 비율'과 '전체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율' 간에는 상관계수 27점(100점 만점 기준)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확인됐다. 이는 실업급여 비중이 높을수록 비정규직 비중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뜻이다.


(중략)


결국, 정규직 유도보다 실업급여의 수급을 용이하게 하는 현 제도는 고용 시장을 왜곡시킨다. 실업급여 제도는 사회적 안전망이자, 동시에 노동시장 구조를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다. 그 구조가 균형을 잃는다면, 사회 전체가 막대한 비용을 치르게 될 것이다.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1897 "내년도 최저임금 또 오르나"…폐업 속출 중기업계 `불안감`
운영자 / 2025.04.21
아주경제 2025.04.21
1896 구멍 뚫린 실업급여...취업·퇴사 반복해 1억 타기도 [국회 방청석]
운영자 / 2025.04.21
매일경제 2025.04.21
1895 30초에 1명 `폐업`한 사장님들…트리거는 임금제도[100만 폐업시대]①
운영자 / 2025.04.21
뉴스1 2025.04.21
1894 실업급여 20차례 9600만원 받아…국민의힘 김승수 "실업급여 악용 대책세워야"
운영자 / 2025.04.18
아시아경제 2025.04.18
# 실업급여의 역설…고용안전망이 비정규직 유입창구로 [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4.15
시사저널 2025.04.15
1892 벼랑끝 中企, 폐업으로 내몰리나... 최저임금 논의 앞두고 벌써 시름[中企 최저임금 비상 <상>]
운영자 / 2025.04.14
파이낸셜뉴스 2025.04.14
1891 인건비 상승에 자영업자 줄폐업…예고된 최저임금위 ‘乙들의 전쟁’
운영자 / 2025.04.14
헤럴드경제 2025.04.14
1890 [갚느라 사는 청춘②] 일자리는 불안정, 제도는 제한적...청년 고용불안의 현실
운영자 / 2025.04.14
투데이신문 2025.04.14
1889 [브릿지 칼럼] 실업급여 부작용
운영자 / 2025.04.07
브릿지칼럼 2025.04.07
1888 "또 올린대?" 최저임금 인상에 대기업마저 떠는 이유
운영자 / 2025.04.07
이데일리 2025.04.07
1887 수출 중소기업, 매출 1위 국가 미국...트럼프發 관세 전쟁에 ′곡소리`
운영자 / 2025.04.03
뉴스핌 2025.04.03
1886 “하나도 안 기뻐요”...졸업유예 선택한 중소기업들, 중견 명찰 꺼리는 까닭은
운영자 / 2025.04.03
매일경제 2025.04.03
1885 "회사 키웠더니 공공조달 놓칠 판"… 中企 1377곳, 성장 거부했다
운영자 / 2025.04.02
매일경제 2025.04.02
1884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실업급여 인상했더니 비정규직 늘어난 이유
운영자 / 2025.04.02
월드경제 2025.04.02
1883 “韓, 371조 기회비용 감수… 美 관세협상 지렛대로”
운영자 / 2025.04.01
문화일보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