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2시간 근로제 시행되면 일자리 40만개 증발"

운영자 ( 2019.02.19) , 조회수 : 1,968       ▶▶ 아주경제 (바로가기)

실질GDP 10.7조원 감소…7만7000개 기업 문닫아“

탄력근무제 확대해 경제 부정적 영향 완화해야”


오는 2020년 주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면 연간 일자리는 40만개 감소하고, 근로 소득도 줄어 민간 소비를 위축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일자리 중에서는 단순‧반복노동을 하지 않는 '숙련공' 일자리가 24만개 가까이 사라진다. 대체할 사람을 찾기 힘든 숙련공 업무시간 감소는 생산력 저하로 이어져 8만개에 달하는 기업이 문을 닫을 것으로 분석됐다.


저녁이 있는 삶, 이른바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보장하면 소비가 늘어나고, 과도한 업무부담을 분산해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라는 정부의 기대와 반대 결과가 나온 셈이다. 


전문가들은 독일과 미국, 일본 등 해외 선진국처럼 근로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절해 기업의 부담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근로시간 단축, 경제적 피해 심각 수준···일자리 40만개↓·11조원 손해 


 파이터치연구원이 19일 발표한 ‘주 52 근로시간 단축의 경제적 파급효과’ 보고서를 보면 근로시간이 주 52시간으로 단축되면 연간 일자리는 약 40만1000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근로시간 단축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1995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로버트 루카스 시카고대학 교수 등의 분석모형을 확장한 동태일반균형모형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근로시간 단축은 숙련공들의 대규모 실업을 유발했다. 사라지는 일자리 중 23만5000개는 숙련공 일자리였다. 연구원은 “숙련공은 부족한 근로시간을 단기간에 신규고용으로 대체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단순노동을 하는 비숙련공에 주 52시간 근무제를 적용한 결과, 자동화가 0.1% 촉진됐다. 비숙련공은 숙련공의 자리를 차지하지 못한 채 자동화 기계 등이 대체했다는 의미다.


숙련공의 근로시간 단축은 기업의 노동수요를 감소시켜 기업의 생산성 하락을 야기, 폐업하는 기업 수는 연간 7만7000개에 달했다. 투자 역시 1조8000억원 줄어든다. 


일하는 시간이 감소한 만큼, 임금은 줄어들고, 소비 역시 위축되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으로 예측된다. 연구원은 근로시간 단축으로 총 임금소득은 5조6000억원, 소비는 5조5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 결국 근로시간 단축은 10조7000억원 정도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을 끌어내려 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게 연구원의 판단이다. 


김재현 파이터치연구원 연구위원은 "현 경제상황과 분석결과를 고려하면 주 52시간 근무제에 대한 원천적 측면에서의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기업들이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여력이 부족하다면 제도 시행 연기 또는 폐기까지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만약 주 52시간 근무제의 재검토가 어렵다면 해외 선진국과 같이 탄력근무제의 단위기간을 최대 1년까지 늘여 기업의 부담을 완화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하략)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405 한경연 “가업상속공제 대상 1조원 확대…매출 52조‧고용 1770명↑”
운영자 / 2019.02.20
데일리안 2019.02.20
404 "가업상속공제 확대시 매출 52조원·고용 1천770명 증가"
운영자 / 2019.02.20
연합뉴스 2019.02.20
403 상속세 부담 세계 최고 韓…한경연 "제도 완화하면 매출 50조원 증가"
운영자 / 2019.02.20
아시아경제 2019.02.20
402 매출 1조 기업까지 `가업상속공제` 적용하면 고용 1770명 증가
운영자 / 2019.02.20
뉴스웍스 2019.02.20
401 기타소득세 ‘꼼수 증세’ 논란
운영자 / 2019.02.20
신동아 2019.02.20
400 파이터치연구원 "주 52시간 근무제, 일자리↓ 영향"
운영자 / 2019.02.20
OBS 2019.02.20
399 "주 52시간 근무제로 연간 일자리 40만개 감소"
운영자 / 2019.02.20
남도일보 2019.02.20
398 [`주 52시간`의 역설] 일자리에 소득까지 발목 잡는다
운영자 / 2019.02.20
공공뉴스 2019.02.20
397 근로시간 단축, 일자리 40만 개 감소할 것… 탄력근무제 확대해야
운영자 / 2019.02.20
아유경제 2019.02.20
396 “주52시간제 시행땐 일자리 40만개 감소”
운영자 / 2019.02.20
세계일보 2019.02.20
395 `주 52시간` 시행하면…일자리 40만개 날아간다
운영자 / 2019.02.20
뉴데일리 2019.02.20
394 "주52시간 근무땐 GDP 10조원 감소"
운영자 / 2019.02.20
파이낸셜뉴스 2019.02.20
393 "주 52시간 근무로 일자리 年40만개 감소"
운영자 / 2019.02.19
한국경제 2019.02.19
392 "주 52시간 근무제, 일자리 40만개·GDP 10조원 줄인다"
운영자 / 2019.02.19
TV조선 2019.02.19
391 "주 52시간 근무제, 노동시간 단축으로 임금소득 5조6천억원 줄 것"
운영자 / 2019.02.19
경인일보 2019.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