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터치연구원 연구 발표…"주52시간제 재논의해야"
"연간 GDP 10조·총소득 5.6조·소비 5.5조 감소할 것"
주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연간 일자리가 40만개 이상 감소하고, 총 임금소득과 국내총생산(GDP)도 각각 5조6000억원, 10조7000억원씩 줄어들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동자의 1인당 연평균 노동시간을 줄여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문재인 정부의 '주52시간 근무제' 기대효과를 정면에서 반박한 셈이다.
파이터치연구원은 19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주52 근로시간 단축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 보고서를 발표하고 "주52시간 근무제는 원천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중략)
◇"주52시간 근무제, 노동자 직업만족도 향상 억제"
김 연구위원은 "주52시간 근무제가 노동자의 직업만족도 향상을 억제한다"는 결과도 내놨다.
그는 "주52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들도 추가 근로에 따라 임금이 늘어나면 직업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핵심은 주52시간 이상 일하더라도 직업만족도가 계속 '양(+)'의 반응을 보인 것"이라고 전했다.
근로시간이 늘수록 만족도는 떨어지는 반면 임금이 오를수고 만족도가 높아지는데, 주52시간 이상 근무하더라도 '임금 상승에 대한 만족'이 '근로시간 연장에 대한 불만족'을 상쇄한다는 분석이다.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주68시간 근로자의 월 임금소득 1% 증가 시 직업만족도는 0.013% 증가해 상승곡선을 그렸다.
파이터치연구원은 "국내 경제상황과 정책의 예상효과를 고려할 때 주 52 근로시간 단축제도의 시행을 연기하거나 폐기까지 고려한 원천 재논의가 필요하다"며 "적어도 탄력근무제의 단위기간을 최대한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탄력근무제는 상시적인 근로시간이 필요한 직종에는 근본적 해결책이 될 수 없다"며 "업무의 특성과 종사자의 직업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근로시간 단축 예외규정을 신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405 | 한경연 “가업상속공제 대상 1조원 확대…매출 52조‧고용 1770명↑” 운영자 / 2019.02.20 |
||
404 | "가업상속공제 확대시 매출 52조원·고용 1천770명 증가" 운영자 / 2019.02.20 |
||
403 | 상속세 부담 세계 최고 韓…한경연 "제도 완화하면 매출 50조원 증가" 운영자 / 2019.02.20 |
||
402 | 매출 1조 기업까지 `가업상속공제` 적용하면 고용 1770명 증가 운영자 / 2019.02.20 |
||
401 | 기타소득세 ‘꼼수 증세’ 논란 운영자 / 2019.02.20 |
||
400 | 파이터치연구원 "주 52시간 근무제, 일자리↓ 영향" 운영자 / 2019.02.20 |
||
399 | "주 52시간 근무제로 연간 일자리 40만개 감소" 운영자 / 2019.02.20 |
||
398 | [`주 52시간`의 역설] 일자리에 소득까지 발목 잡는다 운영자 / 2019.02.20 |
||
397 | 근로시간 단축, 일자리 40만 개 감소할 것… 탄력근무제 확대해야 운영자 / 2019.02.20 |
||
396 | “주52시간제 시행땐 일자리 40만개 감소” 운영자 / 2019.02.20 |
||
395 | `주 52시간` 시행하면…일자리 40만개 날아간다 운영자 / 2019.02.20 |
||
394 | "주52시간 근무땐 GDP 10조원 감소" 운영자 / 2019.02.20 |
||
393 | "주 52시간 근무로 일자리 年40만개 감소" 운영자 / 2019.02.19 |
||
392 | "주 52시간 근무제, 일자리 40만개·GDP 10조원 줄인다" 운영자 / 2019.02.19 |
||
391 | "주 52시간 근무제, 노동시간 단축으로 임금소득 5조6천억원 줄 것" 운영자 / 2019.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