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간 갈등이 심화할수록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가 촉진돼 일자리가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노사 갈등이 가장 심해 자동화 역시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파이터치연구원은 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노사분규가 자동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파이터치연구원은 기획재정부의 허가를 받아 경제 전반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 재단법인이다.
이번 보고서는 2009~17년 OECD 25개 국가의 자료를 바탕으로 노사분규에 따른 자동화 영향을 실증분석한 결과를 담았다.
파이터치연구원 "한국 자동화 수준, OECD 국가 평균치의 4배"
보고서에 따르면, 노사분규가 1% 심화할 경우 자동화는 0.70~0.84% 촉진된다. 이 결과를 국내에 적용하면 노사분규로 인한 자동화가 0.70~0.84% 촉진될 경우 근로자 4만2017~5만395명이 로봇에 자리를 내주게 된다는 게 연구원 측의 분석이다.
마지현 연구원은 "OECD 국가 중 노사협력지수가 가장 낮은 나라는 대한민국(3.4점)"이라며 "노사분규가 가장 심화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마 연구원은 또 "OECD 국가 중 자동화가 가장 높은 국가는 대한민국(제조업 근로자 1만 명당 458대)"이라며 "OECD 국가의 평균 자동화 수준(근로자 1만 명당 114대) 수준과 비교하면 약 4배 높다"고 강조했다.
파이터치연구원은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사가 이견 충돌 시 대등하게 협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하략)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 | "노사분규 1% 심화→자동화 0.84% 촉진→일자리 5만 개 감소" 운영자 / 2020.07.08 |
||
811 | 노사 자주 싸우면 ‘로봇’ 일자리 대체 빨라진다 운영자 / 2020.07.08 |
||
810 | 파이터치硏 "노사분규 1% 늘면 年 일자리 5만개 로봇에 뺏긴다" 운영자 / 2020.07.08 |
||
809 | “노사분규 1% 심화하면 근로자 최대 5만명 로봇으로 대체된다” 운영자 / 2020.07.07 |
||
808 | 파이터치硏 “노사분규 심화땐 年 일자리 5만개씩 감소” 운영자 / 2020.07.07 |
||
807 | "노사 심하게 싸울수록 `로봇 노동` 빨라진다" 운영자 / 2020.07.07 |
||
806 | 파이터치연구원, 노사분규·자동화 관계 연구··· “노사분규 심화하면 근로자 로봇으로 대체” 운영자 / 2020.07.07 |
||
805 | “노사분규 1% 심화 시 근로자 5만명 로봇으로 대체” 운영자 / 2020.07.07 |
||
804 | [사설] 최저임금 인상 억제하고 고통은 나누자 운영자 / 2020.07.02 |
||
803 | 코로나19 위기에도 노동계 ‘독불장군’ 운영자 / 2020.07.02 |
||
802 | “최저임금 16.4% 올렸더니 일자리 55만개 줄어들었다” 운영자 / 2020.07.02 |
||
801 | "최저임금 16.4% 인상 시 GDP 4%↓…文정부, 기회평등 추진해야" 운영자 / 2020.07.02 |
||
800 | [심층분석] 데이터로 보는 문재인 정부의 ‘부익부 빈익빈’ 운영자 / 2020.07.02 |
||
799 | “기업 간 차별 없애면 GDP 7.2% 상승, 최저임금 16.4% 오르면 GDP 4% 감소” 운영자 / 2020.06.30 |
||
798 | "최저임금 16.4% 인상에 소비 18조↓ 일자리 55만개↓ 투자 1조↓" 운영자 / 2020.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