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분규 1% 심화 시 근로자 최대 5만명 로봇으로 대체”

운영자 ( 2020.07.08) , 조회수 : 1,591       ▶▶ 로봇신문 (바로가기)

노사분규 심화시 자동화가 촉진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재)파이터치연구원은 7일 연구보고서 '노사분규가 자동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발표했다. 마지현 연구원은 OECD 25개 국가들의 연도별(2009-2017년) 자료를 하우스만-테일러 추정법을 활용하여 노사분규에 따른 자동화 영향을 실증 분석했다.


OECD 국가 자료 활용, 노사분규가 자동화에 미치는 영향 최초 분석


마지현 연구원은 “2009~2017년 OECD 국가 자료를 활용해 노사분규 1% 심화시 자동화가 0.70~0.84% 촉진된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 실증분석 결과를 우리나라 상황에 적용하면, 노사분규로 인해 자동화가 0.70~0.84% 촉진될 경우 임금근로자 4만2017~5만395명이 로봇으로 대체된다는 분석이다.


노사협력지수가 가장 낮은 국가는 대한민국으로 OECD 37개 회원국에서 37위


마지현 연구원은 “OECD 국가 중 노사협력지수가 가장 낮은 나라는 대한민국(3.4점)으로, 노사분규가 가장 심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자동화가 가장 높은 국가는 대한민국으로 OECD 회원국에서 1위


마지현 연구원은 “OECD 국가 중 자동화가 가장 높은 국가는 대한민국(제조업 근로자 만명 당 458대)이며, OECD 국가의 평균 자동화(제조업 근로자 만명 당 114대) 수준과 비교하면 약 4배 높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했다.



대체근로를 허용하고 사업장 내 쟁의행위를 금지하는 법률 개정이 필요


마지현 연구원은 “파업시 대체근로를 허용하고 사업장내 쟁의행위를 금지하는 법률을 개정해 노사가 대등하게 협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중략)


마지현 연구원은 “노사분규의 협상타결 조건으로 사후 보상금 지급을 금지하고 불법 파업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미국은 철저한 무노동 무임금 관행이 정착화 되어 파업기간 중 임금을 전혀 지급하지 않으며, 프랑스 경우에는 급여뿐만 아니라 상여금과 유급휴가기간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 “노사분규 1% 심화 시 근로자 최대 5만명 로봇으로 대체”
운영자 / 2020.07.08
로봇신문 2020.07.08
813 파이터치연구원 "노사분규 1% 늘 때마다 일자리 5만개 로봇에 뺏겨"
운영자 / 2020.07.08
BBS NEWS 2020.07.08
812 "노사분규 1% 심화→자동화 0.84% 촉진→일자리 5만 개 감소"
운영자 / 2020.07.08
뉴데일리 2020.07.08
811 노사 자주 싸우면 ‘로봇’ 일자리 대체 빨라진다
운영자 / 2020.07.08
투데이코리아 2020.07.08
810 파이터치硏 "노사분규 1% 늘면 年 일자리 5만개 로봇에 뺏긴다"
운영자 / 2020.07.08
프레스맨 2020.07.08
809 “노사분규 1% 심화하면 근로자 최대 5만명 로봇으로 대체된다”
운영자 / 2020.07.07
KNS뉴스통신 2020.07.07
808 파이터치硏 “노사분규 심화땐 年 일자리 5만개씩 감소”
운영자 / 2020.07.07
메트로신문 2020.07.07
807 "노사 심하게 싸울수록 `로봇 노동` 빨라진다"
운영자 / 2020.07.07
파이낸셜뉴스 2020.07.07
806 파이터치연구원, 노사분규·자동화 관계 연구··· “노사분규 심화하면 근로자 로봇으로 대체”
운영자 / 2020.07.07
폴리뉴스 2020.07.07
805 “노사분규 1% 심화 시 근로자 5만명 로봇으로 대체”
운영자 / 2020.07.07
문화일보 2020.07.07
804 [사설] 최저임금 인상 억제하고 고통은 나누자
운영자 / 2020.07.02
브릿지경제 2020.07.02
803 코로나19 위기에도 노동계 ‘독불장군’
운영자 / 2020.07.02
스페셜경제 2020.07.02
802 “최저임금 16.4% 올렸더니 일자리 55만개 줄어들었다”
운영자 / 2020.07.02
헤럴드경제 2020.07.02
801 "최저임금 16.4% 인상 시 GDP 4%↓…文정부, 기회평등 추진해야"
운영자 / 2020.07.02
뉴데일리 2020.07.02
800 [심층분석] 데이터로 보는 문재인 정부의 ‘부익부 빈익빈’
운영자 / 2020.07.02
월간중앙 2020.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