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파이터치연구원의 ‘노사분규가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노사분규가 심화될수록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가 확대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2008년~201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노사분규가 1% 더 심화되면 대기업과 중소기업(1~9인) 간 임금격차는 업종별로 각각 광공업 0.4%, 제조업 0.5%, 건설업 1.2% 더 확대된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이번 연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자료를 활용해 노사협력지수와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임금 관계를 분석한 것으로, 노사분규가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로 분석한 것이라는게 연구원 측의 설명이다. 연구원은 패널자료를 활용해 신뢰성 있게 변수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하우스먼-테일러(Hausman-Taylor) 추정법’을 사용해 노사분규와 임금격차를 살폈다.
(중략)
특히 한국의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는 OECD 평균보다 큰 것으로 조사됐다. 노사분규 심화 정도를 나타내는 국가별 노사협력지수을 살펴본 결가, OECD 26개 국가 중 한국(3.5)이 가장 낮고, 미국(4.9), 일본(5.7)에 이어 스위스(6.1점)가 가장 높았다.
한원석 선임연구원은 “노사분규가 심화되지 않도록 ‘사업장 내 쟁의행위의 전면적 금지’ ‘대체근로 전면 허용’ ‘단체협약 유효기간을 2년에서 3년 이상으로 연장’ 방안을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등 노조법에 반영해 개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827 | [‘디지털 전환’ 시대①] 미래 일자리, 어떻게 변화될까 운영자 / 2020.07.23 |
||
# | 노사분규 심할수록 대·中企 임금격차 확대…1% 늘때 1.2% 확대 운영자 / 2020.07.20 |
||
825 | 대·중소 임금격차, 사용자·노동자 충돌 잦을수록 더 커진다 운영자 / 2020.07.20 |
||
824 | 노사분규가 大-中企 ‘임금격차’에 영향 줄까···분석 결과 발표 운영자 / 2020.07.20 |
||
823 | 노사분규 심화때 대기업-중기 임금差 커져 운영자 / 2020.07.14 |
||
822 | 노사분규 1% 늘면 大·中企 임금격차 최대 1.2% 확대…"노조법 개정해야" 운영자 / 2020.07.14 |
||
821 | 파이터치硏, `강한 노조`가 大·中企 임금격차 더 벌린다 운영자 / 2020.07.14 |
||
820 | “노사분규 1% 심화되면 대·중소기업 임금격차 최대 1.2%↑” 운영자 / 2020.07.14 |
||
819 | “노사분규 1% 심화 시 대·중기 간 임금격차 최대 1.2% 확대 운영자 / 2020.07.14 |
||
818 | 韓 ‘노사분규·임금격차’ 심각… OECD 가입국 중 최하위 운영자 / 2020.07.14 |
||
817 | “노사분규 1% 심화 시 대·중소 간 임금격차 최대 1.2% 확대” 운영자 / 2020.07.14 |
||
816 | 파이터치硏 “노사분규 심화하면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 커져” 운영자 / 2020.07.14 |
||
815 | "노사분규 1% 심화시 자동화 0.84%↑...일자리 5만 개 감소" 운영자 / 2020.07.14 |
||
814 | “노사분규 1% 심화 시 근로자 최대 5만명 로봇으로 대체” 운영자 / 2020.07.08 |
||
813 | 파이터치연구원 "노사분규 1% 늘 때마다 일자리 5만개 로봇에 뺏겨" 운영자 / 2020.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