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째 헛도는 원격의료…"규제 풀리면 고용인원 연간 2000명씩 증가"

운영자 ( 2020.11.25) , 조회수 : 2,017       ▶▶ 뉴스웍스 (바로가기)

[뉴스웍스=전다윗 기자] 우리나라 원격의료 시장은 약 20년간 헛돌기만 했다. 첫발을 뗀 지난 2000년부터 지금까지 '시범사업' 형태로만 진행 중이다.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이 일찌감치 원격의료를 도입한 것과 대비된다. 코로나19를 계기로 글로벌 원격의료 시장의 성장세가 더 가팔라질 전망이지만, 국내에서는 과도한 규제로 시장 규모조차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원격의료 기술을 갖춘 국내 기업들은 눈을 돌려 해외로 떠나는 실정이다.


◆글로벌 원격의료 시장, 2015년부터 연간 15%씩 성장


원격의료는 의료진이 환자와의 직접 대면 없이 통신 등을 통해 원격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시스템을 뜻한다. 디지털 의료기기, 관리 플랫폼 등 정보통신기술 기반 헬스케어산업의 시발점으로 꼽힌다. 잠재력이 상당한 '신성장동력'으로 거론되며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글로벌 원격의료 시장 규모는 305억달러로 추정된다. 2015년부터 연간 약 15%씩 고속성장 중이다.


미국, 중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은 물론 인도네시아 등 개발도상국들까지 원격의료의 잠재력을 알아보고 시장에 이미 뛰어든 상태다. 현재 수백개 업체가 글로벌 시장에서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특히 올해 전 세계를 덮친 코로나19는 원격의료가 다시금 각광받는 계기가 됐다. 실제로 미국 텔레닥·가이징거, 중국 핑안굿닥터 등 원격의료 스타트업들의 진료 건수는 코로나19 이후 적게는 2배에서 많으면 8배까지 증가했다.


◆GDP 상위 15개국 중 우리나라만 원격의료 규제


반면 우리나라는 아직 본격적인 시동조차 걸지 못했다. 원격의료를 금지하는 규제 탓이다. 현행 의료법상 의사는 환자를 무조건 만나서 진료해야 한다. 원격의료는 의료진 사이에서만 가능하다. 원격의료를 허용하려는 움직임은 있었으나, 의료계·시민단체의 거센 반발과 정부의 미적지근한 태도로 번번이 흐지부지됐다.


글로벌 GDP 상위 15개국 중 원격의료가 금지된 나라는 한국뿐이다. 미국, 영국 등은 이미 10여년 전부터 원격의료를 도입했지만 아직도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미국 원격의료 시장의 경우 지난 5년간 연평균 34.7%씩 커왔다. 미국·영국보다 다소 출발이 늦었지만 중국·일본 등도 원격의료 시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 중국은 2014년 뒤늦게 원격의료를 허용했지만, 과감한 투자로 현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원격의료 시장이 됐다.


선진국뿐 아니라 동남아시아 등 개발도상국들도 원격의료를 전면 규제하는 경우는 드물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헬로닥, 알로닥터 등 유니콘급 원격의료 스타트업을 보유할 정도로 성장했다.

국내 원격의료 시장은 활발한 글로벌 시장과 정반대다. 냉정히 말하면 '국내 시장'이란 말 자체가 없는 수준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한국은 규제로 인해 원격의료 시장 규모조차 파악 못 하는 상태"라고 했다.


민간 경제 연구기관 파이터치연구원은 올해 발표한 '원격 의료서비스 규제 완화의 경제적 파급효과' 보고서에서 원격의료 규제를 풀면 고용인원이 연간 2000명씩 늘어날 것으로 봤다. 반대로 말하면, 규제가 계속될 경우 매년 2000개의 일자리가 미처 펴보지도 못하고 지는 셈이다.


(하략)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1944 최저임금 인상, 비정규직 일터부터 줄인다 [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7.07
시사저널 2025.07.07
1943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최저임금 14.7% 인상하면, 고용보험료 27.3%↑
운영자 / 2025.07.04
월드경제 2025.07.04
1942 최저임금 블랙홀..`을` 싸움에 소상공인·자영업자 생존 위협
운영자 / 2025.07.04
머니투데 2025.07.04
1941 최저임금 두고 노사 ‘줄다리기’…동결 가능성은
운영자 / 2025.07.04
매일일보 2025.07.04
1940 [직설] 소상공인-근로자 갈등…최저임금 파행 구조 이대로 괜찮나?
운영자 / 2025.07.04
SBS Biz 2025.07.04
1939 “최저임금 더 오르면 中企·자영업 못 버틴다”
운영자 / 2025.06.30
중소기업뉴스 2025.06.30
1938 "최저임금 14.7% 인상 시 근로시간 격차 월 17시간↑"
운영자 / 2025.06.26
아시아경제 2025.06.26
1937 내년 최저임금 14.7% 인상 땐 비정규직만 근로시간 ‘뚝’... 실소득 역전 우려
운영자 / 2025.06.26
현대경제신문 2025.06.26
1936 최저임금 올해도 데드라인 넘기나…노사 입장 팽팽, 여론전도 치열
운영자 / 2025.06.26
대한경제 2025.06.26
1935 정규·비정규직 소득격차 되레 키우는 최저임금 인상의 역설
운영자 / 2025.06.26
서울경제 2025.06.26
1934 최저임금 인상 딜레마?…“11500원 되면 정규·비정규직 임금격차 는다”
운영자 / 2025.06.26
세계일보 2025.06.26
1933 경영계 "최저임금 `동결`해야…감당 어렵고 소득분배 효과 미미"
운영자 / 2025.06.26
이데일리 2025.06.26
1932 최저임금 협상 앞두고 떨고 있는 자영업자..."노동계 요구 받으면 임금 격차만 늘어"
운영자 / 2025.06.26
한국일보 2025.06.26
1931 최저임금 14.7% 인상? “정규직·비정규직 근로시간 격차 커진다”
운영자 / 2025.06.26
에너지경제 2025.06.26
1930 “최저임금 14.7% 인상 시 정규·비정규직 근로시간 격차 연 203시간 확대”
운영자 / 2025.06.26
천지일보 2025.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