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째 헛도는 원격의료…"규제 풀리면 고용인원 연간 2000명씩 증가"

운영자 ( 2020.11.25) , 조회수 : 1,107       ▶▶ 뉴스웍스 (바로가기)

[뉴스웍스=전다윗 기자] 우리나라 원격의료 시장은 약 20년간 헛돌기만 했다. 첫발을 뗀 지난 2000년부터 지금까지 '시범사업' 형태로만 진행 중이다.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이 일찌감치 원격의료를 도입한 것과 대비된다. 코로나19를 계기로 글로벌 원격의료 시장의 성장세가 더 가팔라질 전망이지만, 국내에서는 과도한 규제로 시장 규모조차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원격의료 기술을 갖춘 국내 기업들은 눈을 돌려 해외로 떠나는 실정이다.


◆글로벌 원격의료 시장, 2015년부터 연간 15%씩 성장


원격의료는 의료진이 환자와의 직접 대면 없이 통신 등을 통해 원격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시스템을 뜻한다. 디지털 의료기기, 관리 플랫폼 등 정보통신기술 기반 헬스케어산업의 시발점으로 꼽힌다. 잠재력이 상당한 '신성장동력'으로 거론되며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글로벌 원격의료 시장 규모는 305억달러로 추정된다. 2015년부터 연간 약 15%씩 고속성장 중이다.


미국, 중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은 물론 인도네시아 등 개발도상국들까지 원격의료의 잠재력을 알아보고 시장에 이미 뛰어든 상태다. 현재 수백개 업체가 글로벌 시장에서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특히 올해 전 세계를 덮친 코로나19는 원격의료가 다시금 각광받는 계기가 됐다. 실제로 미국 텔레닥·가이징거, 중국 핑안굿닥터 등 원격의료 스타트업들의 진료 건수는 코로나19 이후 적게는 2배에서 많으면 8배까지 증가했다.


◆GDP 상위 15개국 중 우리나라만 원격의료 규제


반면 우리나라는 아직 본격적인 시동조차 걸지 못했다. 원격의료를 금지하는 규제 탓이다. 현행 의료법상 의사는 환자를 무조건 만나서 진료해야 한다. 원격의료는 의료진 사이에서만 가능하다. 원격의료를 허용하려는 움직임은 있었으나, 의료계·시민단체의 거센 반발과 정부의 미적지근한 태도로 번번이 흐지부지됐다.


글로벌 GDP 상위 15개국 중 원격의료가 금지된 나라는 한국뿐이다. 미국, 영국 등은 이미 10여년 전부터 원격의료를 도입했지만 아직도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미국 원격의료 시장의 경우 지난 5년간 연평균 34.7%씩 커왔다. 미국·영국보다 다소 출발이 늦었지만 중국·일본 등도 원격의료 시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 중국은 2014년 뒤늦게 원격의료를 허용했지만, 과감한 투자로 현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원격의료 시장이 됐다.


선진국뿐 아니라 동남아시아 등 개발도상국들도 원격의료를 전면 규제하는 경우는 드물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헬로닥, 알로닥터 등 유니콘급 원격의료 스타트업을 보유할 정도로 성장했다.

국내 원격의료 시장은 활발한 글로벌 시장과 정반대다. 냉정히 말하면 '국내 시장'이란 말 자체가 없는 수준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한국은 규제로 인해 원격의료 시장 규모조차 파악 못 하는 상태"라고 했다.


민간 경제 연구기관 파이터치연구원은 올해 발표한 '원격 의료서비스 규제 완화의 경제적 파급효과' 보고서에서 원격의료 규제를 풀면 고용인원이 연간 2000명씩 늘어날 것으로 봤다. 반대로 말하면, 규제가 계속될 경우 매년 2000개의 일자리가 미처 펴보지도 못하고 지는 셈이다.


(하략)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864 [신년특집] 선진국으로 가는 마지막 조건: 삶의 질
운영자 / 2021.01.26
월간중앙 2021.01.26
863 공공 계약직 늘렸더니 전체 일자리가 줄었다
운영자 / 2021.01.22
주간조선 2021.01.22
862 파이터치연구원 “공공 계약직 늘리면 일자리 오히려 줄어”
운영자 / 2021.01.22
라이센스뉴스 2021.01.22
861 22년만의 고용한파] 주52시간제 덮친 中企···"소득·일자리 다 줄어들 것"
운영자 / 2021.01.14
대한경제 2021.01.14
860 파이터치연구원 “공공 계약직 늘리면 공공 정규직 능력 저하된다”
운영자 / 2021.01.13
KNS뉴스통신 2021.01.13
859 공공 계약직 증가, 공공 서비스 질 악화 유발
운영자 / 2021.01.13
문화일보 2021.01.13
858 "계약직 위주의 공공부문 단기 일자리 득보다 실이 커"
운영자 / 2021.01.13
뉴시스 2021.01.13
857 "공공 계약직 일자리 늘렸더니… 전체 일자리가 줄어들었다" 파이터치연구원 `공공 계약직 확대 효과` 조사…
운영자 / 2021.01.13
뉴데일리 2021.01.13
856 예산쏟아 늘린 공공 계약직, 일자리·서비스 질에 `역효과`
운영자 / 2021.01.13
메트로신문 2021.01.13
855 파이터치연구원 "공공 계약직 확대는 일자리 감소 불러와"
운영자 / 2021.01.12
오피니언타임즈 2021.01.12
854 "문재인 정부, 계약직 공공 일자리 증원 계획 재조정해야"
운영자 / 2021.01.12
신아일보 2021.01.12
853 "공공 일자리 늘릴수록 공공 서비스 안 좋아져"
운영자 / 2021.01.12
파이낸셜뉴스 2021.01.12
852 “공공 계약직 증가로 총고용 되레 21만명 줄어”
운영자 / 2021.01.07
문화일보 2021.01.07
# 20년째 헛도는 원격의료…"규제 풀리면 고용인원 연간 2000명씩 증가"
운영자 / 2020.11.25
뉴스웍스 2020.11.25
850 근시안적 기업 상속세제 시정할 때다
운영자 / 2020.10.29
문화일보 2020.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