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는 출범 초기부터 기능조정과 조직·인력 효율화를 골자로 하는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을 내놓으며 비대해지고 방만해진 공공부문의 체질 개선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공공부문의 혁신 외에도 경제성장을 가로막는 낡은 규제 혁파가 수반돼야만 침체한 한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민간과 경합하거나 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은 대폭 줄이고, 법에 명시된 고유 목적사업 외의 비핵심 기능·역할은 폐지하는 등 공공기관의 기능 조정을 통해 슬림화를 속속 추진하고 있다. 주무부처인 기재부도 올해 1298명인 본부 정원을 내년엔 43명(-3.3%) 줄인 1255명으로 하향 조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기재부의 정원 축소는 2014년 이후 10년 만이다.
(중략)
박성복 파이터치연구원 연구실장은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윤석열 정부는 공무원 정원 동결 기조 하에서 ‘통합활용정원제’를 실시하는 등 큰 틀에서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박 실장은 “공무원 수 증가에 따라 늘어나는 간섭과 규제를 줄여 민간의 경제활동을 위축시키는 부작용을 줄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1827 | [라정주의 경제터치] 가업상속세, 혁신의 날개인가 족쇄인가 운영자 / 2025.01.13 |
||
1826 | `경제허리` 중견기업, 중기로 유턴 2배 늘었다 [中企로 뒷걸음치는 중견기업] 운영자 / 2025.01.13 |
||
1825 | [금요칼럼] `노사협력`의 놀라운 효과 운영자 / 2025.01.13 |
||
1824 | 시급 1만원의 역설…약자간 갈등, 벼랑 끝 내몰리는 사장님 운영자 / 2025.01.10 |
||
1823 | 올해 최저임금 1만30원… "고용시장 악영향" vs "물가상승률보다 낮아" 운영자 / 2025.01.10 |
||
1822 |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중소기업 구인난, 청년 탓만 할 건가 운영자 / 2025.01.03 |
||
1821 | [브릿지 칼럼] 양극화 해소 방안, 前정부와 차별화해야 운영자 / 2024.12.23 |
||
1820 | [데스크칼럼]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다 운영자 / 2024.12.17 |
||
1819 | 200억 벌면, 전기료가 100억…"공장 돌릴수록 울화통 터진다" 운영자 / 2024.12.17 |
||
1818 |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일자리 문제 해결...브라질만 못한 `노사협력지수` 개선해야 운영자 / 2024.12.17 |
||
1817 | 비상계엄·탄핵 정국에...중소·벤처기업 투자위축 우려 운영자 / 2024.12.09 |
||
1816 | [라정주의 경제터치] 노사협력 증대되면 일자리는 얼마나 늘까 운영자 / 2024.12.06 |
||
1815 | [브릿지 칼럼] 연금개혁의 묘안이 될 자동조정장치 운영자 / 2024.11.19 |
||
1814 | "강성노조 득세하면 소득불평등 악화"… 韓 노사협력지수, OECD 최하위 운영자 / 2024.11.18 |
||
1813 | “노사협력지수 1% 오르면 일자리 10만개 증가” 운영자 / 2024.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