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근예비군 제도 평시복무 개념으로 발전시켜야”

운영자 ( 2023.09.25) , 조회수 : 1,670       ▶▶ 국방일보 (바로가기)

국가안보의 양대 축이자 핵심 역량인 예비전력 발전을 위해 현재 전역 계급에서 한 단계 진급만 가능한 ‘예비역 진급제도’를 두 단계 이상 가능하도록 개선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또 비상근예비군 제도를 ‘평시복무 개념’으로 확장·발전시켜야 한다는 방안도 제기됐다.

육군은 지난 22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박정환 육군참모총장 주관, 한기호 국회국방위원장 주최로 ‘예비전력 법령·제도 발전방향’을 주제로 한 국회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중략)


발제자로는 전기석 충남대 교수와 라정주 파이터치연구원장이 나서 ‘적시 전투력 창출을 위한 예비전력 법령·제도 발전방향’과 ‘비상근예비군 제도 발전 방향’을 각각 발표했다.


라 원장은 미국의 예비군 제도를 예로 들면서 “우리 군도 평시 편성률이 낮은 부대에 비상근 예비군을 운용해 전투준비태세가 향상되는 효과를 확인했다”며 “병역자원 감소에 대응하는 가장 효과적인 대안으로 예비군 간부를 확대할 것과 우수자원 확보를 위한 준직업성 보장 등 법적기반을 조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라 원장은 비상근 예비군 제도를 평시복무 개념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면서 가칭 ‘평시복무예비군’ 운용을 피력했다.

그는 “예비전력의 준상비전력화로 전투준비태세와 경제성을 동시에 제고할 수 있다”며 “평시복무예비군 정원은 국군 조직정원에 반영하고 한시적 소요는 현 비상근 예비군을 운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1839 일자리와 성장, 기업상속세 감면이 해법이다 [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3.14
시사저널 2025.03.14
1838 [브릿지 칼럼] 주 52시간제, 성역처럼 여겨선 안 돼
운영자 / 2025.03.04
브릿지경제 2025.03.04
1837 [데스크 칼럼] 기업 혁신 막는 상속세제
운영자 / 2025.02.28
한국경제 2025.02.28
1836 ′주52시간 굴레′ 中企, 존폐 위기 호소… 고환율·관세도 부담
운영자 / 2025.02.24
뉴스핌 2025.02.24
1835 트럼프발 관세 폭탄에 中企 매출 1.2조 타격...업계 "정부지원 절실"
운영자 / 2025.02.14
뉴스핌 2025.02.14
1834 고금리·다중채무 위기 속 자영업자, 자동장부로 금융비용 낮출 수 있다[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2.10
시사저널 2025.02.10
1833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상속세 완화, 부자 감세 아닌 `일자리 증가` 정책입니다
운영자 / 2025.02.06
월드경제 2025.02.06
1832 자영업자, 자동장부 사용하면 대출금리, 재고량 낮아져
운영자 / 2025.02.05
한국경제 2025.02.05
1831 [벤처 1000억 기업의 성장 조건] 글로벌 시장 진출이 기업 성패 좌우
운영자 / 2025.02.04
포브스코리아 2025.02.04
1830 [브릿지 칼럼] 위기의 자영업자 구하려면
운영자 / 2025.01.23
브릿지경제 2025.01.23
1829 “철근 단가 그대론데 원가·인건비 급등”… 중소기업, 줄도산 위기
운영자 / 2025.01.22
문화일보 2025.01.22
1828 [노트북 너머] 최저시급 1만·폐업 100만 시대 동시 개막…업종별 구분 적용 절실
운영자 / 2025.01.20
이투데 2025.01.20
1827 [라정주의 경제터치] 가업상속세, 혁신의 날개인가 족쇄인가
운영자 / 2025.01.13
시사저널 2025.01.13
1826 `경제허리` 중견기업, 중기로 유턴 2배 늘었다 [中企로 뒷걸음치는 중견기업]
운영자 / 2025.01.13
파이낸셜뉴스 2025.01.13
1825 [금요칼럼] `노사협력`의 놀라운 효과
운영자 / 2025.01.13
신아일보 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