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와 환자 간 원격의료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규제를 완화할 경우 국민 전체의 진료비가 1.4% 줄고, 의료서비스 공급은 1.9% 늘어난다는 연구조사 결과가 나왔다.
(재)파이터치연구원은 30일 이런 결과가 도출된 '원격 의료서비스 규제 완화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이번 연구의 분석모형으로 숙련노동의 인적역량 변화를 반영한 동태일반균형모형(시간에 따른 거시경제 변화 분석 모형)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중략)
보고서에 따르면, 원격의료 규제 완화 시 원격 의료(의사-환자 간+의사-의사 간)와 대면 의료를 합한 전체 의료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진료비는 약 1.42% 감소하고, 전체 의료서비스 공급은 약 1.88% 증가하며, 의료서비스 관련 전체 일자리는 약 0.18%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이러한 의료시장의 파급효과에 따라 연간 국내총생산(GDP) 2조4000억 원, 총소비 5조9000억 원, 총투자 4조3000억 원, 일자리 2000개가 각각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난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원격 의료서비스 규제 완화 시 의료인의 인적 역량도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원격 의료서비스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의료서비스 종사자에 대한 인적투자가 확대되기 때문이다. 인적 투자의 확대는 인적 역량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해외의 경우 일본은 재택산소요법 시행환자, 당뇨병, 천식, 고혈압, 아토피성 피부염 등 9개 질환, 미국은 보건의료 전문가가 부족한 지역이나 대도시 지구에 포함되지 않는 곳의 환자, 독일은 초진에 대해서도 원격진료가 가능하다. 프랑스는 원격상담과 원격감시에 한해 의사-환자 간 원격의료가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1834 | 고금리·다중채무 위기 속 자영업자, 자동장부로 금융비용 낮출 수 있다[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2.10 |
||
1833 |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상속세 완화, 부자 감세 아닌 `일자리 증가` 정책입니다 운영자 / 2025.02.06 |
||
1832 | 자영업자, 자동장부 사용하면 대출금리, 재고량 낮아져 운영자 / 2025.02.05 |
||
1831 | [벤처 1000억 기업의 성장 조건] 글로벌 시장 진출이 기업 성패 좌우 운영자 / 2025.02.04 |
||
1830 | [브릿지 칼럼] 위기의 자영업자 구하려면 운영자 / 2025.01.23 |
||
1829 | “철근 단가 그대론데 원가·인건비 급등”… 중소기업, 줄도산 위기 운영자 / 2025.01.22 |
||
1828 | [노트북 너머] 최저시급 1만·폐업 100만 시대 동시 개막…업종별 구분 적용 절실 운영자 / 2025.01.20 |
||
1827 | [라정주의 경제터치] 가업상속세, 혁신의 날개인가 족쇄인가 운영자 / 2025.01.13 |
||
1826 | `경제허리` 중견기업, 중기로 유턴 2배 늘었다 [中企로 뒷걸음치는 중견기업] 운영자 / 2025.01.13 |
||
1825 | [금요칼럼] `노사협력`의 놀라운 효과 운영자 / 2025.01.13 |
||
1824 | 시급 1만원의 역설…약자간 갈등, 벼랑 끝 내몰리는 사장님 운영자 / 2025.01.10 |
||
1823 | 올해 최저임금 1만30원… "고용시장 악영향" vs "물가상승률보다 낮아" 운영자 / 2025.01.10 |
||
1822 |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중소기업 구인난, 청년 탓만 할 건가 운영자 / 2025.01.03 |
||
1821 | [브릿지 칼럼] 양극화 해소 방안, 前정부와 차별화해야 운영자 / 2024.12.23 |
||
1820 | [데스크칼럼]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다 운영자 / 2024.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