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바뀔때마다 ‘시범사업→원위치’… 韓, 원격의료 첫 발도 못 떼

운영자 ( 2020.02.18) , 조회수 : 1,927       ▶▶ 문화일보 (바로가기)

업계 “규제·의료계 반발 탓”


외국에서 (환자와 의사 간) 원격 의료가 약진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여전히 첫발도 못 뗀 채 맴돌기만 거듭하고 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산간 벽지 등 의료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직접 병원을 찾아야(대면진료) 하는 불편을 덜어주겠다며 시범사업을 들고는 나오지만, 정작 본 사업은 시작도 못하고 다시 원위치되는 상황이 반복되는 것이다. 가장 최근에는 지난해 7월 전국 규제자유특구 7곳을 지정하면서, 강원도를 헬스케어특구로 지정해 원격 의료 실증사업을 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아직 성사되지 못했다.


(중략)


그러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이 확산되면서 원격 의료 필요성이 또다시 제기되고 있다.


17일 관련 업계에서는 이런 '규제 맴돌기’의 원인으로 의료계 반발과 규제를 가장 먼저 꼽는다. 의료계는 안전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는 이유를 든다. 또한 현재 동네의원이 많아서 원격 의료를 하더라도 실효성이 떨어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 시민단체에서는 의료민영화(의료보험 민간화로 보험료 상승)·의료산업화(의료수가 상승) 등을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원격 의료서비스 규제 완화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 보고서를 펴낸 파이터치연구원의 김재현 책임연구원은 “원격 의료 지역은 해외에서도 산간벽지 등 의료 사각지대로 한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마치 우리나라에서는 모든 곳에서 실시하는 것처럼 오해의 소지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1839 일자리와 성장, 기업상속세 감면이 해법이다 [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3.14
시사저널 2025.03.14
1838 [브릿지 칼럼] 주 52시간제, 성역처럼 여겨선 안 돼
운영자 / 2025.03.04
브릿지경제 2025.03.04
1837 [데스크 칼럼] 기업 혁신 막는 상속세제
운영자 / 2025.02.28
한국경제 2025.02.28
1836 ′주52시간 굴레′ 中企, 존폐 위기 호소… 고환율·관세도 부담
운영자 / 2025.02.24
뉴스핌 2025.02.24
1835 트럼프발 관세 폭탄에 中企 매출 1.2조 타격...업계 "정부지원 절실"
운영자 / 2025.02.14
뉴스핌 2025.02.14
1834 고금리·다중채무 위기 속 자영업자, 자동장부로 금융비용 낮출 수 있다[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2.10
시사저널 2025.02.10
1833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상속세 완화, 부자 감세 아닌 `일자리 증가` 정책입니다
운영자 / 2025.02.06
월드경제 2025.02.06
1832 자영업자, 자동장부 사용하면 대출금리, 재고량 낮아져
운영자 / 2025.02.05
한국경제 2025.02.05
1831 [벤처 1000억 기업의 성장 조건] 글로벌 시장 진출이 기업 성패 좌우
운영자 / 2025.02.04
포브스코리아 2025.02.04
1830 [브릿지 칼럼] 위기의 자영업자 구하려면
운영자 / 2025.01.23
브릿지경제 2025.01.23
1829 “철근 단가 그대론데 원가·인건비 급등”… 중소기업, 줄도산 위기
운영자 / 2025.01.22
문화일보 2025.01.22
1828 [노트북 너머] 최저시급 1만·폐업 100만 시대 동시 개막…업종별 구분 적용 절실
운영자 / 2025.01.20
이투데 2025.01.20
1827 [라정주의 경제터치] 가업상속세, 혁신의 날개인가 족쇄인가
운영자 / 2025.01.13
시사저널 2025.01.13
1826 `경제허리` 중견기업, 중기로 유턴 2배 늘었다 [中企로 뒷걸음치는 중견기업]
운영자 / 2025.01.13
파이낸셜뉴스 2025.01.13
1825 [금요칼럼] `노사협력`의 놀라운 효과
운영자 / 2025.01.13
신아일보 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