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심각한 자영업 폐업, 정부가 나서야

운영자 ( 2024.10.16) , 조회수 : 775       ▶▶ 브릿지경제 (바로가기)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세청에서 받은 '최근 10년간 개인사업자 현황’ 자료를 살펴보면, 지난해 개인사업자 114만7000여곳이 문을 여는 동안 91만곳(79.4%)이 문을 닫았다. 2013년(86.9%)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특히 음식업은 지난해 15만9000곳이 문을 여는 동안 15만3000곳(96.2%)이 문을 닫았다. 이밖에 제조업(103.7%), 도매업(101.4%), 부동산임대업(96.4%)도 높은 창업 대비 폐업비율을 기록했다.

전체 사업자에서 폐업한 비율을 보는 폐업률도 소매업의 경우 개인 사업자 129만개 중 27만개(20.8%)가 문을 닫으면서 최근 10년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음식업도 79만개 중 15만개(19.4%)가 폐업했다.

(중략)

주52시간제가 자영업 위기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다.

파이터치연구원에 따르면 주 52시간제 시행으로 매출이 줄면서 직원을 둔 자영업자가 5만1000명 줄었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의 계절조정 취업자수를 활용해 자영업자수 변화를 살펴보면,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수는 주 52시간제 시행 직전인 2018년 6월 166만명에서 지난해 12월 143만명으로 13.5%(23만명)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수는 397만명에서 424만명으로 6.6%(27만명) 늘었다.

주 52시간제로 임금소득이 줄어들면서, 가계의 소비 여력이 떨어져 자영업자의 매출 감소로 이어졌다는 지적이다. 매출이 줄면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직원을 내보내고 1인 자영업자가 되거나 폐업한다.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1830 [브릿지 칼럼] 위기의 자영업자 구하려면
운영자 / 2025.01.23
브릿지경제 2025.01.23
1829 “철근 단가 그대론데 원가·인건비 급등”… 중소기업, 줄도산 위기
운영자 / 2025.01.22
문화일보 2025.01.22
1828 [노트북 너머] 최저시급 1만·폐업 100만 시대 동시 개막…업종별 구분 적용 절실
운영자 / 2025.01.20
이투데 2025.01.20
1827 [라정주의 경제터치] 가업상속세, 혁신의 날개인가 족쇄인가
운영자 / 2025.01.13
시사저널 2025.01.13
1826 `경제허리` 중견기업, 중기로 유턴 2배 늘었다 [中企로 뒷걸음치는 중견기업]
운영자 / 2025.01.13
파이낸셜뉴스 2025.01.13
1825 [금요칼럼] `노사협력`의 놀라운 효과
운영자 / 2025.01.13
신아일보 2025.01.13
1824 시급 1만원의 역설…약자간 갈등, 벼랑 끝 내몰리는 사장님
운영자 / 2025.01.10
대한경제 2025.01.10
1823 올해 최저임금 1만30원… "고용시장 악영향" vs "물가상승률보다 낮아"
운영자 / 2025.01.10
중부일보 2025.01.10
1822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중소기업 구인난, 청년 탓만 할 건가
운영자 / 2025.01.03
월드경제 2025.01.03
1821 [브릿지 칼럼] 양극화 해소 방안, 前정부와 차별화해야
운영자 / 2024.12.23
브릿지경제 2024.12.23
1820 [데스크칼럼]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다
운영자 / 2024.12.17
아시아투데이 2024.12.17
1819 200억 벌면, 전기료가 100억…"공장 돌릴수록 울화통 터진다"
운영자 / 2024.12.17
한국경제 2024.12.17
1818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일자리 문제 해결...브라질만 못한 `노사협력지수` 개선해야
운영자 / 2024.12.17
월드경제 2024.12.17
1817 비상계엄·탄핵 정국에...중소·벤처기업 투자위축 우려
운영자 / 2024.12.09
뉴스핌 2024.12.09
1816 [라정주의 경제터치] 노사협력 증대되면 일자리는 얼마나 늘까
운영자 / 2024.12.06
시사저널 2024.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