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로 보는 경제] 고용보험기금 고갈, 국민 혈세로 막고 있다

운영자 ( 2021.07.20) , 조회수 : 1,856       ▶▶ 오피니언타임스 (바로가기)

[오피니언타임스=박성복 파이터치연구원 부연구위원] 지난달 30일 안경덕 신임 고용노동부 장관은 기자들과의 회견 자리에서 “아무리 늦어도 8월 말까지는 고용보험 재정건전화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그는 “필요하면 고용보험료 인상도 논의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그동안 고용보험기금 적립금 고갈이 우려된다는 지적에 대해 “고용 위기 땐 지출이 증가하고 경기가 회복되면 재정 수지가 개선된다”는 입장을 취해왔지만 계속되는 고용보험기금 적자에 이제야 위기감을 느낀 듯하다. 


문재인 정부 들어 고용보험기금 지출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고용노동부의 고용보험기금 결산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실업급여 지출은 9조8601억원이다. 2017년 대비 57% 증가한 수치다.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과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 정책이 맞물리면서 실업급여 지급액이 대폭 늘어난 것이 주된 요인이다.


또 2019년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 관련 지출은 4조0914억원이다. 2017년보다 29% 늘어났다. 청년추가고용장려금, 청년내일채움공제, 고용유지지원금 등 재정 투입형 일자리 창출 사업과 육아휴직 급여 확대가 고용보험기금 지출을 부추겼다.


설상가상으로 2020년에는 코로나19까지 덮치면서 실업급여와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 관련 지출은 2017년 대비 각각 121%, 107% 증가했다. 


정부가 구체적인 재원 조달 방안 없이 지출 확대 정책에만 초점을 맞춰온 결과, 고용보험기금은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그림 참조). 


고용보험기금 당기 재정 수지(=수입-지출)는 2018년 8082억원의 적자를 시작으로 2019년에는 2조877억원 적자, 2020년에는 무려 5조3292억원의 적자를 냈다. 2019년 10월부터 고용보험료율을 1.3%에서 1.6%로 올렸지만 적자 폭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적자 폭이 커지자 정부는 고용보험기금에 투입되는 예산을 늘리기 시작했다(그림 참조). 


예산 규모는 2018년 902억원에서 2019년 1402억원으로 증가했고, 2020년에는 1조1502억원까지 늘어나 역대 처음으로 1조원을 넘겼다. 


예산 증액뿐 아니라 2020년 7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공공자금관리기금으로부터 총 4조4997억원을 빌려 고용보험기금에 투입했다.


(하략)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1968 코스피 최고치 경신했지만…`5000 시대` 위한 과제는
운영자 / 2025.09.11
더팩트 2025.09.11
1967 [뉴스락 특별기획]`노란봉투법`과 `K로봇`의 동상이몽...기로에 선 K-제조업
운영자 / 2025.09.10
뉴스락 2025.09.10
1966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주 4.5일제 논의에서 놓친 것...비숙련공의 `학습 효과`
운영자 / 2025.09.01
월드경제 2025.09.01
1965 지역中企 ‘노란봉투법·한미정상회담’에 촉각
운영자 / 2025.08.25
금강일보 2025.08.25
1964 [브릿지 칼럼] 노란봉투법 도입에 따른 경제적 손실
운영자 / 2025.08.25
브릿지경제 2025.08.25
1963 與, 노란봉투법 오늘 처리 예정…경제계, 李정권 마이웨이에 불만 가득
운영자 / 2025.08.25
데일리안 2025.08.25
1962 `노란봉투법` 강행 앞두고 반발 여론 고조…조정 필요성 대두
운영자 / 2025.08.25
오피니언뉴스 2025.08.25
1961 "기업 의견은 듣지도 않고"…`노란봉투법·상법·세제` 줄줄이 강행 [李율배반]
운영자 / 2025.08.25
데일리안 2025.08.25
1960 주식양도세 강화, 주가만 내리고 집값은 올린다[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8.12
시사저널 2025.08.12
1959 "편법 조장하는 대주주 과세기준 강화…세수 효과는 미미"
운영자 / 2025.08.07
더팩트 2025.08.07
1958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최저임금 인상되는데...정규직·비정규직 임금 격차 확대되는 이유
운영자 / 2025.08.01
월드경제 2025.08.01
1957 與 노란봉투법 강행 후폭풍…13개 업종별 단체까지 나선 이유는
운영자 / 2025.07.30
데일리안 2025.07.30
1956 "美 관세도 버거운데, 규제 쓰나미까지"…韓 재계 `진퇴양난`
운영자 / 2025.07.30
뉴스1 2025.07.30
1955 [사설] 밖에서 핍박받고 안에서도 치이고…기업들 설 땅이 없다
운영자 / 2025.07.30
한국경제 2025.07.30
1954 고용장관 "노란봉투법, 노사 성장 기반"…경영계 `반발`
운영자 / 2025.07.30
SBS Biz 2025.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