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 노동자와 사용자의 이해관계가 충돌하며 일어나는 노사분규가 대기업-중소기업 간의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로 분석한 결과가 발표됐다. 노사분규가 1% 더 심화될 경우 임금격차는 최대 1.2% 더 확대될 수 있다는 결과가 도출됐다.
파이터치연구원 한원석 선임연구원은 14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노사분규가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분석은 하우스만-테일러 추정법으로 진행됐다. 패널자료를 활용해 신뢰성 있게 변수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한 연구원은 2008년부터 2016년까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를 활용해 노사분규가 1% 더 심화되면 대기업과 중소기업(1~9인) 간 임금격차는 더 확대된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 업종별로 보면 광공업이 0.4%, 제조업이 0.5%, 건설업이 1.2%로 임금격차가 더 벌어졌다.
노사분규 심화정도를 나타내는 ‘노사협력지수’를 보면 OECD 국가 중 한국이 3.5점으로 가장 낮았다. 이 지수는 7점 만점으로 값이 작으면 노사분규가 심화됨을 의미한다. 가장 높은 국가는 스위스로 6.1점을 기록했다. OECD 평균은 4.8점으로 조사됐다.
한 연구원은 “노사분규가 심화되지 않도록 노조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을 개정해야 한다”며 “노조법 제42조(폭력행위 등의 금지)의 부분적 직장점거 내용을 ‘사업장 내 쟁의행위의 전면적 금지’로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노조법 제43조(사용자의 채용제한)의 대체근로 금지규정을 삭제해야 한다"며 "노조법 제32조(단체협약의 유효기간)의 임금인상 요구 관련 단체협약 유효기간을 2년에서 3년 이상으로 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 1977 | [라이프스타일]보유세 인상은 월세 폭등의 촉매제 운영자 / 2025.10.31 |
||
| 1976 | [브릿지 칼럼] 급증하는 국가부채, 재정준칙 절실할 때 운영자 / 2025.10.24 |
||
| 1975 | 보유세 올리면, 월세도 오른다[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10.20 |
||
| 1974 | 환율 1420원 돌파, 5개월 만에 `최고`…증시 반등 속 `불안한 변수` 운영자 / 2025.10.10 |
||
| 1973 |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결국 통과된 `노란봉투법`, 후폭풍 최소화하려면 운영자 / 2025.09.30 |
||
| 1972 | [브릿지 칼럼] 중대재해 처벌만이 능사 아니다 운영자 / 2025.09.25 |
||
| 1971 | 노란봉투법·주4.5일제 겹호재…로봇株 정책 수혜주 급부상 운영자 / 2025.09.22 |
||
| 1970 | 주 4.5일제, 노동시간 단축이 불러올 산재의 그림자 [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9.18 |
||
| 1969 | 호황장 속 자동차株만 역주행…"관세·노조 리스크 겹쳤다" 운영자 / 2025.09.18 |
||
| 1968 | 코스피 최고치 경신했지만…`5000 시대` 위한 과제는 운영자 / 2025.09.11 |
||
| 1967 | [뉴스락 특별기획]`노란봉투법`과 `K로봇`의 동상이몽...기로에 선 K-제조업 운영자 / 2025.09.10 |
||
| 1966 |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주 4.5일제 논의에서 놓친 것...비숙련공의 `학습 효과` 운영자 / 2025.09.01 |
||
| 1965 | 지역中企 ‘노란봉투법·한미정상회담’에 촉각 운영자 / 2025.08.25 |
||
| 1964 | [브릿지 칼럼] 노란봉투법 도입에 따른 경제적 손실 운영자 / 2025.08.25 |
||
| 1963 | 與, 노란봉투법 오늘 처리 예정…경제계, 李정권 마이웨이에 불만 가득 운영자 / 2025.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