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고용지표 개선을 위해 예산을 쏟아부어 늘리고 있는 공공 계약직이 오히려 일자리와 공공서비스의 질을 하락시키는 등 역효과가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공공분야 계약직 증가가 정규직 일자리를 줄이고, 정규직의 업무능력도 저하시킨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파이터치연구원이 12일 펴낸 '공공부문 계약직 일자리 확대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보고서에서 나왔다.
파이터치연구원이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자료 가운데 '산업 및 고용형태별 취업자 수' 자료를 인용한 결과 공공부문 계약직 근로자 비중은 현 정부 집권 초기인 지난 2017년 8월 당시 28.9%에서 지난해 8월 36.4%로 크게 상승했다.
이에 따라 같은 기간 공공 계약직 일자리는 70만3000명에서 91만7000명으로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중략)
파이터치연구원 김재현 연구실장은 "공공 계약직 일자리를 확대하면 공공 정규직의 업무능력이 떨어지고 이는 궁극적으로 공공 서비스의 양적, 질적 하락을 가져온다"며 "정부는 계약직 위주의 공공부문 단기 일자리 확대를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실장은 "정부는 기업이 자생적으로 일자리를 늘릴 수 있도록 고용정책 방향을 선회해야하는데 이를 위해선 계약직 공공 일자리 증원 계획을 합리적으로 재조정해야한다"면서 "장기적으론 공공부문 계약직 일자리를 줄여나가는 동시에 고용정책 방향을 민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원 정책 중심으로 가야한다"고 덧붙였다.
|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 1977 | [라이프스타일]보유세 인상은 월세 폭등의 촉매제운영자 / 2025.10.31 |
||
| 1976 | [브릿지 칼럼] 급증하는 국가부채, 재정준칙 절실할 때 운영자 / 2025.10.24 |
||
| 1975 | 보유세 올리면, 월세도 오른다[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10.20 |
||
| 1974 | 환율 1420원 돌파, 5개월 만에 `최고`…증시 반등 속 `불안한 변수` 운영자 / 2025.10.10 |
||
| 1973 |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결국 통과된 `노란봉투법`, 후폭풍 최소화하려면 운영자 / 2025.09.30 |
||
| 1972 | [브릿지 칼럼] 중대재해 처벌만이 능사 아니다 운영자 / 2025.09.25 |
||
| 1971 | 노란봉투법·주4.5일제 겹호재…로봇株 정책 수혜주 급부상 운영자 / 2025.09.22 |
||
| 1970 | 주 4.5일제, 노동시간 단축이 불러올 산재의 그림자 [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9.18 |
||
| 1969 | 호황장 속 자동차株만 역주행…"관세·노조 리스크 겹쳤다" 운영자 / 2025.09.18 |
||
| 1968 | 코스피 최고치 경신했지만…`5000 시대` 위한 과제는 운영자 / 2025.09.11 |
||
| 1967 | [뉴스락 특별기획]`노란봉투법`과 `K로봇`의 동상이몽...기로에 선 K-제조업 운영자 / 2025.09.10 |
||
| 1966 |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주 4.5일제 논의에서 놓친 것...비숙련공의 `학습 효과` 운영자 / 2025.09.01 |
||
| 1965 | 지역中企 ‘노란봉투법·한미정상회담’에 촉각 운영자 / 2025.08.25 |
||
| 1964 | [브릿지 칼럼] 노란봉투법 도입에 따른 경제적 손실 운영자 / 2025.08.25 |
||
| 1963 | 與, 노란봉투법 오늘 처리 예정…경제계, 李정권 마이웨이에 불만 가득 운영자 / 2025.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