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이 1만원대로 올라섰다. 지난달 11일, 최저임금을 심의·의결하는 사회적 대화기구 최저임금위원회는 제11차 전원회의에서 2025년 최저임금을 1만30원으로 의결했다. 올해 최저임금인 9860원보다 170원(1.7%) 오른 금액이다.
이로써, 자영업자의 부담 가중은 피할 수 없게 됐다. 특히, 심리적 마지노선인 1만원선이 깨졌다는 사실은 결코 가볍게 볼 문제가 아니다.
실제로 최근 구인구직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이 기업회원 174명을 대상으로 '2025년 최저임금 1만30원 결정 의견'을 묻는 설문조사에서 약 87.7%가 '불만족'이라고 응답했다. 지난 3년간 진행한 동일 조사결과 중 불만족 응답률이 가장 높다.
전문가들은 최저임금 인상이 폐업률로 직결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재단법인 파이터치연구원의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최저임금 1% 상승 시 종업원 1∼4인의 기업 폐업률은 0.77% 높아진다.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국내 외식매장의 폐업률이 이미 최대치라는 점이다. 핀테크 기업 핀다의 빅데이터 상권분석 플랫폼 오픈업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 외식업 폐업률은 18.99%로, 코로나19 대유행 초기인 2020년 폐업률(18.89%)보다 높은 수치다.
(중략)
이제 외식산업의 디지털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다. 남은 것은 시장에서의 지속가능한 사업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편의성과 활용성에 초점을 맞춘 기능의 구현과 함께 자영업 시장에의 디지털 전환 기술 적용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차원의 정비가 필요하다.
앞으로, 기업과 정부를 주축으로, 디지털 전환을 중심으로 한 외식산업의 상생 체계가 구축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1939 | ![]() 운영자 / 2025.06.30 |
||
1938 | "최저임금 14.7% 인상 시 근로시간 격차 월 17시간↑" 운영자 / 2025.06.26 |
||
1937 | 내년 최저임금 14.7% 인상 땐 비정규직만 근로시간 ‘뚝’... 실소득 역전 우려 운영자 / 2025.06.26 |
||
1936 | 최저임금 올해도 데드라인 넘기나…노사 입장 팽팽, 여론전도 치열 운영자 / 2025.06.26 |
||
1935 | 정규·비정규직 소득격차 되레 키우는 최저임금 인상의 역설 운영자 / 2025.06.26 |
||
1934 | 최저임금 인상 딜레마?…“11500원 되면 정규·비정규직 임금격차 는다” 운영자 / 2025.06.26 |
||
1933 | 경영계 "최저임금 `동결`해야…감당 어렵고 소득분배 효과 미미" 운영자 / 2025.06.26 |
||
1932 | 최저임금 협상 앞두고 떨고 있는 자영업자..."노동계 요구 받으면 임금 격차만 늘어" 운영자 / 2025.06.26 |
||
1931 | 최저임금 14.7% 인상? “정규직·비정규직 근로시간 격차 커진다” 운영자 / 2025.06.26 |
||
1930 | “최저임금 14.7% 인상 시 정규·비정규직 근로시간 격차 연 203시간 확대” 운영자 / 2025.06.26 |
||
1929 | 최저임금 1만1500원 되면?…"정규·비정규직, 소득격차 확대" 운영자 / 2025.06.26 |
||
1928 | “최저임금 올렸더니 비정규직만 덜 일한다?”.. 연 203시간 격차 벌어져 운영자 / 2025.06.26 |
||
1927 | 최저임금 14.7% 인상시 월근로시간 격차 17시간 ↑ 운영자 / 2025.06.26 |
||
1926 | "최저임금 인상 시 정규·비정규직 간 임금소득 격차 확대" 운영자 / 2025.06.26 |
||
1925 | "노동계 요구대로 최저임금 올리면 비정규직 연 203시간 근로 줄어" 운영자 / 202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