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이 1만원대로 올라섰다. 지난달 11일, 최저임금을 심의·의결하는 사회적 대화기구 최저임금위원회는 제11차 전원회의에서 2025년 최저임금을 1만30원으로 의결했다. 올해 최저임금인 9860원보다 170원(1.7%) 오른 금액이다.
이로써, 자영업자의 부담 가중은 피할 수 없게 됐다. 특히, 심리적 마지노선인 1만원선이 깨졌다는 사실은 결코 가볍게 볼 문제가 아니다.
실제로 최근 구인구직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이 기업회원 174명을 대상으로 '2025년 최저임금 1만30원 결정 의견'을 묻는 설문조사에서 약 87.7%가 '불만족'이라고 응답했다. 지난 3년간 진행한 동일 조사결과 중 불만족 응답률이 가장 높다.
전문가들은 최저임금 인상이 폐업률로 직결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재단법인 파이터치연구원의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최저임금 1% 상승 시 종업원 1∼4인의 기업 폐업률은 0.77% 높아진다.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국내 외식매장의 폐업률이 이미 최대치라는 점이다. 핀테크 기업 핀다의 빅데이터 상권분석 플랫폼 오픈업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 외식업 폐업률은 18.99%로, 코로나19 대유행 초기인 2020년 폐업률(18.89%)보다 높은 수치다.
(중략)
이제 외식산업의 디지털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다. 남은 것은 시장에서의 지속가능한 사업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편의성과 활용성에 초점을 맞춘 기능의 구현과 함께 자영업 시장에의 디지털 전환 기술 적용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차원의 정비가 필요하다.
앞으로, 기업과 정부를 주축으로, 디지털 전환을 중심으로 한 외식산업의 상생 체계가 구축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1914 | 최저임금의 역설, 일자리가 사라진다[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6.17 |
||
1913 | [브릿지 칼럼] 저출생 해법, 결혼을 위한 주거비 부담 낮춰야 운영자 / 2025.06.17 |
||
1912 | [데스크 칼럼] 독일 `하르츠 개혁`의 교훈 운영자 / 2025.06.16 |
||
1911 | ‘공포의 시간’ 다가온다… 최저임금 인상폭에 편의점 `초긴장` 운영자 / 2025.06.12 |
||
1910 |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자영업자 30초마다 망하는데...최저임금 이대로 둘 건가 운영자 / 2025.05.28 |
||
1909 | 주 4.5일제가 놓친 변수, `학습의 시간` [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5.14 |
||
1908 | [브릿지 칼럼] 대미 투자 기회비용 371조, 관세 협상 지렛대로 운영자 / 2025.05.12 |
||
1907 | [키워드 경제] 실업급여 운영자 / 2025.05.07 |
||
1906 | 보유세 폭탄 맞은 집주인들 … 세입자도 `좌불안석` 운영자 / 2025.05.07 |
||
1905 |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일자리 늘리면 저출산 해결" 정치권 틀렸다 운영자 / 2025.04.29 |
||
1904 | [2025폭풍변화-전문기고] `관세폭탄` 중소기업, 370조 기회비용 맞대응 운영자 / 2025.04.28 |
||
1903 | [라이프스타일] 실업급여 늘렸더니 예상치 못한 결과 나왔다 운영자 / 2025.04.28 |
||
1902 | “세 명 쓰다 두 명 쓰다 이젠 혼자 합니다”…직원없는 식당, 6년새 30% 급증, 왜? 운영자 / 2025.04.23 |
||
1901 | 식당 절반이 `사장 홀로 운영`… 인건비 올라 알바 쓸 엄두도 못내 운영자 / 2025.04.23 |
||
1900 | [현장] 이슬 원격의료산업협의회 회장 “지금이 비대면진료 법제화할 골든타임” 주장 운영자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