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S뉴스통신=김관일 기자] 공공부문의 계약직 일자리를 늘리면 정규직의 업무능력이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재)파이터치연구원(원장 라정주)의 김재현 연구실장은 12일 ‘공공부문 계약직 일자리 확대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김 실장은 “정부가 단기간에 고용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공 계약직을 늘리면 공공 정규직 업무능력이 저하되고 공공 서비스 규모가 축소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증가한 공공 계약직으로 인해 공공 정규직 교육비 지출이 약 14.78% 감소하고 공공 정규직 업무능력이 약 9.22%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 계약직 일자리는 2017년 70만 3000명에서 2020년 91만 7000명으로 3년간 약 31%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김 실장은 “총고용이 감소해 가계소득이 줄고 이로 인해 정부의 조세수입이 줄어들며, 이는 정부의 공공 서비스 규모를 축소시킨다”고 분석했다.
(중략)
김 실장은 “결국 공공 계약직 일자리를 확대하면 공공 정규직 업무능력이 저하되고, 이는 궁극적으로 공공 서비스의 양적, 질적 하락을 가져온다”면서 “정부는 계약직 위주의 공공부문 단기 일자리 확대를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파이터치연구원은 제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을 포함해 경제 전반을 연구하기 위해 기획재정부로부터 허가를 받아 설립된 비영리 재단법인이다.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1944 | 최저임금 인상, 비정규직 일터부터 줄인다 [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7.07 |
||
1943 |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최저임금 14.7% 인상하면, 고용보험료 27.3%↑ 운영자 / 2025.07.04 |
||
1942 | 최저임금 블랙홀..`을` 싸움에 소상공인·자영업자 생존 위협 운영자 / 2025.07.04 |
||
1941 | 최저임금 두고 노사 ‘줄다리기’…동결 가능성은 운영자 / 2025.07.04 |
||
1940 | [직설] 소상공인-근로자 갈등…최저임금 파행 구조 이대로 괜찮나? 운영자 / 2025.07.04 |
||
1939 | “최저임금 더 오르면 中企·자영업 못 버틴다” 운영자 / 2025.06.30 |
||
1938 | "최저임금 14.7% 인상 시 근로시간 격차 월 17시간↑" 운영자 / 2025.06.26 |
||
1937 | 내년 최저임금 14.7% 인상 땐 비정규직만 근로시간 ‘뚝’... 실소득 역전 우려 운영자 / 2025.06.26 |
||
1936 | 최저임금 올해도 데드라인 넘기나…노사 입장 팽팽, 여론전도 치열 운영자 / 2025.06.26 |
||
1935 | 정규·비정규직 소득격차 되레 키우는 최저임금 인상의 역설 운영자 / 2025.06.26 |
||
1934 | 최저임금 인상 딜레마?…“11500원 되면 정규·비정규직 임금격차 는다” 운영자 / 2025.06.26 |
||
1933 | 경영계 "최저임금 `동결`해야…감당 어렵고 소득분배 효과 미미" 운영자 / 2025.06.26 |
||
1932 | 최저임금 협상 앞두고 떨고 있는 자영업자..."노동계 요구 받으면 임금 격차만 늘어" 운영자 / 2025.06.26 |
||
1931 | 최저임금 14.7% 인상? “정규직·비정규직 근로시간 격차 커진다” 운영자 / 2025.06.26 |
||
1930 | “최저임금 14.7% 인상 시 정규·비정규직 근로시간 격차 연 203시간 확대” 운영자 / 202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