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주말에 공장을 가동하자 해도 거부합니다. 공장에서 10여만 원 더 버느니 몰래 농가에서 아르바이트 하면 두 배 더 벌 수 있으니까요.”
충남 지역의 한 금속 가공 중소기업 대표는 코로나19 장기화에 주 52시간 근무제까지 시행되면서 극심한 인력난을 호소했다. 그는 “이제 지방 뿌리 기업에서는 외국 근로자도 구하기 힘들다”며 “최저임금까지 1만 원 수준으로 오르면 아무리 일감이 있어도 회사 인력을 오히려 축소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2년 최저임금을 둘러싸고 노사 간 본격적인 숫자 줄다리가 시작됐다. 노동계는 23.9% 오른 ‘1만 800원’을, 경영계는 동결을 내세웠다. 매년 반복되는 숫자 싸움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그 밑에는 반영되지 못한 영세 중소기업계의 고질적인 문제가 있다. 바로 ‘일자리’다.
대부분 청년 구직자들은 중소기업 일자리나 3D 제조 일자리를 피한다. 그 자리의 대부분을 외국인 근로자가 대체하고 있다. 하지만 연이은 최저임금 인상으로 이마저도 한계에 다다랐다. 파이터치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최저임금이 16.4% 올랐을 때 5인 미만 사업장의 고용은 0.88% 감소했다. 지난해의 경우 코로나19 충격으로 5인 미만 사업장의 고용은 1.59% 줄었다.
영세 중소기업의 일자리는 구조와 성격이 다르다. 대규모 노조의 요구에 맞춰 일괄적으로 최저임금을 올리기 전에 중소기업 일자리에는 보완책이 필요하다. 중소기업 10곳 중 4곳이 대출이나 정부 지원금으로 운영되는 상황에서 최저임금이 인상되면 중소기업의 41%가 고용을 감축하겠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소기업이 벼랑 끝에 내몰리고 있다는 방증이다.
(하략)
NO. | 제 목 | 미디어 | 등록일자 |
---|---|---|---|
1968 | ![]() 운영자 / 2025.09.11 |
||
1967 | [뉴스락 특별기획]`노란봉투법`과 `K로봇`의 동상이몽...기로에 선 K-제조업 운영자 / 2025.09.10 |
||
1966 |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주 4.5일제 논의에서 놓친 것...비숙련공의 `학습 효과` 운영자 / 2025.09.01 |
||
1965 | 지역中企 ‘노란봉투법·한미정상회담’에 촉각 운영자 / 2025.08.25 |
||
1964 | [브릿지 칼럼] 노란봉투법 도입에 따른 경제적 손실 운영자 / 2025.08.25 |
||
1963 | 與, 노란봉투법 오늘 처리 예정…경제계, 李정권 마이웨이에 불만 가득 운영자 / 2025.08.25 |
||
1962 | `노란봉투법` 강행 앞두고 반발 여론 고조…조정 필요성 대두 운영자 / 2025.08.25 |
||
1961 | "기업 의견은 듣지도 않고"…`노란봉투법·상법·세제` 줄줄이 강행 [李율배반] 운영자 / 2025.08.25 |
||
1960 | 주식양도세 강화, 주가만 내리고 집값은 올린다[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8.12 |
||
1959 | "편법 조장하는 대주주 과세기준 강화…세수 효과는 미미" 운영자 / 2025.08.07 |
||
1958 |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최저임금 인상되는데...정규직·비정규직 임금 격차 확대되는 이유 운영자 / 2025.08.01 |
||
1957 | 與 노란봉투법 강행 후폭풍…13개 업종별 단체까지 나선 이유는 운영자 / 2025.07.30 |
||
1956 | "美 관세도 버거운데, 규제 쓰나미까지"…韓 재계 `진퇴양난` 운영자 / 2025.07.30 |
||
1955 | [사설] 밖에서 핍박받고 안에서도 치이고…기업들 설 땅이 없다 운영자 / 2025.07.30 |
||
1954 | 고용장관 "노란봉투법, 노사 성장 기반"…경영계 `반발` 운영자 / 2025.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