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ATE] 집값 폭락했는데...종부세만 4조 원 달해

운영자 ( 2022.12.02) , 조회수 : 1,642       ▶▶ 매일경제 (바로가기)

올해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과세 인원이 사상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섰다. 2005년 종부세 제도 도입 이후 납부 대상자가 100만 명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이 내야 할 종부세는 4조 원에 이를 전망이다.


정부는 국회예산정책처가 주최한 '2022년 세제개편안’ 토론회에서 올해 주택분 종부세 고지 인원이 약 120만 명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국내 전체 주택 보유자(2020년 기준 1470만 명)의 8%가량이 종부세 대상이 된 셈이다. 재산 상위 1%를 대상으로 설계된 종부세 도입 취지에서 벗어났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종부세 과세 인원은 매년 늘어나는 중이다. 주택분 종부세 과세 인원은 2017년 33만2000명, 2018년 39만3000명, 2019년 51만7000명으로 증가한 데 이어 2020년 66만5000명, 지난해 93만1000명으로 치솟았다


(중략)


기획재정부는 민간 경제싱크탱크인 파이터치연구원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부동산 보유세가 1% 늘어나면 월세는 0.06% 오를 수 있다고 밝혔다. 종부세가 332만 원 증가하면 월세는 20만 원가량 오른다는 의미다. 이재면 과장은 “과도한 종부세 부담으로 납세자 수용성이 낮아지고, 주택과세 형평이라는 종부세 도입 취지도 훼손되고 있다. 집값 하향 안정세와 금리 인상 추세를 고려할 때 지금이 과도하게 강화된 종부세를 정상화할 적기”라고 강조했다.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1997 "대기업·중소기업 임금격차 커지면 출생아 감소"
운영자 / 2025.11.26
중앙일보 2025.11.26
1996 與·野, ‘52시간 예외 뺀 반도체법’ 잠정합의
운영자 / 2025.11.26
문화일보 2025.11.26
1995 손발묶인 반도체 특별법… “996근무 中에 뒤처질것”
운영자 / 2025.11.26
문화일보 2025.11.26
1994 "여보, 대기업으로 이직하면 안 돼?"…대·중소기업 임금 격차 커질수록 출산율 `뚝`
운영자 / 2025.11.26
서울경제 2025.11.26
1993 대·중소기업 임금격차 크면 출생아 수 줄어든다는데…
운영자 / 2025.11.25
서울경제 2025.11.25
1992 ‘임금 차이=출산율 하락?’…데이터로 살펴본 출산 현주소
운영자 / 2025.11.25
조세일보 2025.11.25
1991 대기업 vs 중소기업 임금격차 커질수록 `출산 포기`… 저출생 원인 지목
운영자 / 2025.11.25
머니S 2025.11.25
1990 저출산 원인에 대·중소기업 임금격차 있다
운영자 / 2025.11.25
에너지경제 2025.11.25
1989 "대기업-중소기업 임금 격차로 10년간 출생아 3.1만 명 줄었다"
운영자 / 2025.11.25
노컷뉴스 2025.11.25
1988 “대·중소기업 임금 격차로 10년간 출생아 3만명 감소”
운영자 / 2025.11.25
조선비즈 2025.11.25
1987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출생아 수 감소 요인"
운영자 / 2025.11.25
아이뉴스24 2025.11.25
1986 "대·중소기업 임금 격차, 출산율 감소"…3만명 넘게 줄었다
운영자 / 2025.11.24
한국경제 2025.11.24
1985 "중소기업 다니며 저임금 받는데 애 낳겠어요?"
운영자 / 2025.11.24
뉴스1 2025.11.24
1984 대·중소기업 임금격차 확대에 출산율 하락…10년간 출생아 3만명↓
운영자 / 2025.11.24
이데일리 2025.11.24
1983 대-중기 임금격차 18% 확대…10년간 출생아수 3만명 줄였다
운영자 / 2025.11.24
신아일보 2025.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