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주 4.5일제 논의에서 놓친 것...비숙련공의 `학습 효과`

운영자 ( 2025.09.01) , 조회수 : 125       ▶▶ 월드경제 (바로가기)

[월드경제=마지현 (재)파이터치연구원 수석연구원]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공약 중 하나인 주 4.5일제. 임금 삭감 없이 법정근로시간을 주 40시간에서 주 36시간으로 단축하겠다는 내용이다. 이 제도에 대해 노동계와 경영계의 입장은 크게 엇갈린다.

노동계는 한국의 근로시간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여섯 번째로 길다는 점을 근거로 주 4.5일제 도입을 적극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은 올해 임금·단체협약 교섭에서 주 4.5일제 도입을 요구했다.

(중략)


문제는 전체 기업 중 99.9%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경우 비숙련공이 많다는 것이다. 세계은행의 ‘세계발전보고서 2024’에 따르면,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비숙련공을 더 많이 보유한다. 특히 언어와 교육 수준으로 인해 충분한 스킬을 습득하는데 보다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외국인 노동자가 중소기업에 대부분 종사하고 있다.

통계청의 이민자 체류 실태 및 고용조사를 보면, 2024년 기준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외국인 취업자는 98만 3000명으로 전체 외국인 취업자 중 97.3%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주 4.5일제는 중소기업에 적합하지 않다.

근로시간을 단축하는 주 4.5일제가 근로자의 피로를 줄여 노동생산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지만, 학습효과 제고 등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제도 도입에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국가 차원에서 제도적으로 근로시간을 단축하려는 시도보다 시장의 자율적 선택에 맡기는 것이 더 바람직한 정책 방향일 것이다.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1976 [브릿지 칼럼] 급증하는 국가부채, 재정준칙 절실할 때
운영자 / 2025.10.24
브릿지칼럼 2025.10.24
1975 보유세 올리면, 월세도 오른다[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10.20
시사저널 2025.10.20
1974 환율 1420원 돌파, 5개월 만에 `최고`…증시 반등 속 `불안한 변수`
운영자 / 2025.10.10
더팩트 2025.10.10
1973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결국 통과된 `노란봉투법`, 후폭풍 최소화하려면
운영자 / 2025.09.30
월드경제 2025.09.30
1972 [브릿지 칼럼] 중대재해 처벌만이 능사 아니다
운영자 / 2025.09.25
브릿지경제 2025.09.25
1971 노란봉투법·주4.5일제 겹호재…로봇株 정책 수혜주 급부상
운영자 / 2025.09.22
더팩트 2025.09.22
1970 주 4.5일제, 노동시간 단축이 불러올 산재의 그림자 [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9.18
시사저널 2025.09.18
1969 호황장 속 자동차株만 역주행…"관세·노조 리스크 겹쳤다"
운영자 / 2025.09.18
더팩트 2025.09.18
1968 코스피 최고치 경신했지만…`5000 시대` 위한 과제는
운영자 / 2025.09.11
더팩트 2025.09.11
1967 [뉴스락 특별기획]`노란봉투법`과 `K로봇`의 동상이몽...기로에 선 K-제조업
운영자 / 2025.09.10
뉴스락 2025.09.10
#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주 4.5일제 논의에서 놓친 것...비숙련공의 `학습 효과`
운영자 / 2025.09.01
월드경제 2025.09.01
1965 지역中企 ‘노란봉투법·한미정상회담’에 촉각
운영자 / 2025.08.25
금강일보 2025.08.25
1964 [브릿지 칼럼] 노란봉투법 도입에 따른 경제적 손실
운영자 / 2025.08.25
브릿지경제 2025.08.25
1963 與, 노란봉투법 오늘 처리 예정…경제계, 李정권 마이웨이에 불만 가득
운영자 / 2025.08.25
데일리안 2025.08.25
1962 `노란봉투법` 강행 앞두고 반발 여론 고조…조정 필요성 대두
운영자 / 2025.08.25
오피니언뉴스 2025.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