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 칼럼] 급증하는 국가부채, 재정준칙 절실할 때

운영자 ( 2025.10.24) , 조회수 : 12       ▶▶ 브릿지칼럼 (바로가기)

이재명 정부는 출범과 동시에 확장 재정 기조를 전면에 내세웠다. 출범한 지 한 달 만에 내수 진작을 위한 31조8000억원의 추경을 신속히 의결했다. 그리고 8월에는 2026년도 예산안 발표를 통해 확장 재정 정책을 공식화했다.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도 지출액은 올해보다 8.1% 늘어난 728조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됐다. 반면, 수입액은 지출액보다 54조원 적은 674조원으로 적자 예산안이 편성됐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잠재성장률 제고를 위해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첨단산업 분야에 대규모의 연구·개발(R&D) 예산이 투입되고, 복지 측면에서는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과 구직촉진수당 인상이 눈에 띈다. 재정을 마중물로 삼아 성장과 복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구상이다.


(중략)


따라서 급증하는 국가부채에 대한 최소한의 견제장치로 재정준칙을 하루빨리 도입해야 한다. 재정준칙은 재정적자나 국가부채 수준의 상·하한에 대해 수치화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법제화함으로써 정부의 씀씀이를 견제할 수 있는 장치다. 이런 재정준칙의 도입 논의는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박근혜 정부에서는 국가부채 비율을 45% 이하로 묶는 재정준칙이 추진됐고, 문재인 정부에서는 국가부채 비율과 통합재정적자 비율을 각각 60%, -3% 이하로 하는 한국형 재정준칙이 입법 예고됐었다. 윤석열 정부에서도 GDP 대비 재정적자를 -3% 이하로 하는 재정준칙에 대해 여야 합의안까지 마련됐었다. 그러나 모두 입법에는 실패했다. 국가부채가 매년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정부에서만큼은 재정준칙 도입을 골자로 하는 국가재정법개정안이 반드시 시행되길 기대한다.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NO. 제 목 미디어 등록일자
# [브릿지 칼럼] 급증하는 국가부채, 재정준칙 절실할 때
운영자 / 2025.10.24
브릿지칼럼 2025.10.24
1975 보유세 올리면, 월세도 오른다[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10.20
시사저널 2025.10.20
1974 환율 1420원 돌파, 5개월 만에 `최고`…증시 반등 속 `불안한 변수`
운영자 / 2025.10.10
더팩트 2025.10.10
1973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결국 통과된 `노란봉투법`, 후폭풍 최소화하려면
운영자 / 2025.09.30
월드경제 2025.09.30
1972 [브릿지 칼럼] 중대재해 처벌만이 능사 아니다
운영자 / 2025.09.25
브릿지경제 2025.09.25
1971 노란봉투법·주4.5일제 겹호재…로봇株 정책 수혜주 급부상
운영자 / 2025.09.22
더팩트 2025.09.22
1970 주 4.5일제, 노동시간 단축이 불러올 산재의 그림자 [라정주의 경제터치]
운영자 / 2025.09.18
시사저널 2025.09.18
1969 호황장 속 자동차株만 역주행…"관세·노조 리스크 겹쳤다"
운영자 / 2025.09.18
더팩트 2025.09.18
1968 코스피 최고치 경신했지만…`5000 시대` 위한 과제는
운영자 / 2025.09.11
더팩트 2025.09.11
1967 [뉴스락 특별기획]`노란봉투법`과 `K로봇`의 동상이몽...기로에 선 K-제조업
운영자 / 2025.09.10
뉴스락 2025.09.10
1966 [마지현의 `경제가 뭐라고`] 주 4.5일제 논의에서 놓친 것...비숙련공의 `학습 효과`
운영자 / 2025.09.01
월드경제 2025.09.01
1965 지역中企 ‘노란봉투법·한미정상회담’에 촉각
운영자 / 2025.08.25
금강일보 2025.08.25
1964 [브릿지 칼럼] 노란봉투법 도입에 따른 경제적 손실
운영자 / 2025.08.25
브릿지경제 2025.08.25
1963 與, 노란봉투법 오늘 처리 예정…경제계, 李정권 마이웨이에 불만 가득
운영자 / 2025.08.25
데일리안 2025.08.25
1962 `노란봉투법` 강행 앞두고 반발 여론 고조…조정 필요성 대두
운영자 / 2025.08.25
오피니언뉴스 2025.08.25